-
11
-
제2차 G-램프(LAMP) 사업단 워크샵 개최
-
1. 행사명: 제2차 G-램프(LAMP) 사업단 워크샵 2. 일시: 2025년 6월 19일(목) 14:00 3. 장소: 과학관 B133호 및 1층 로비 4. 주관: G-램프(LAMP)사업단, 주최: 지속가능 미래 과학연구원 5. 참석: G-램프(LAMP) 참여 교원, 포닥, 학생연구원 포함하여 물질·에너지과학 연구 성과에 관심 있는 누구나 6. 행사 세부 내용: 램프교원 및 램프포닥 주요 연구성과 발표
-
G-램프(LAMP) 사업단
2025.06.17
-
10
-
2025년 제1차 G-램프(LAMP) 사업단 성과 교류회
-
1. 행사명: 2025학년도 제1차 G-램프(LAMP) 사업단 성과교류회 2. 일시: 2025. 5. 30.(금) 14:00~16:00 3. 장소: 과학관 111호 및 과학관 로비 4. 주관: G-램프(LAMP)사업단, 주최: 지속가능 미래 과학연구원 5. 참석: G-램프(LAMP) 참여 교원, 포닥, 학생연구원 포함하여 물질·에너지과학 연구 성과에 관심 있는 누구나 6. 행사 세부 내용: 연구실 별 주요 연구 성과 포스터 발표 및 질의/응답
-
G-램프(LAMP) 사업단
2025.05.22
-
9
-
총괄A과제 성과교류회(3차)
-
총괄A과제 성과교류회(3차) - 일시: 2025년 2월 27일(목) 10:30~ - 장소: 과학관 429호 - 발표자 : 김관표 교수 (물리학과) - Deep learning analysis of electron microscopy data 임연환 교수 (물리학과) - Correlation between neutron driplines and neutron star properties
-
G-램프(LAMP) 사업단
2025.04.03
-
8
-
총괄A과제 성과교루회 (2차)
-
총괄A과제 성과교류회 (2차) - 일시: 2025년 2월 25일(화) 10:30~ - 장소: 과학관 429호
-
G-램프(LAMP) 사업단
2025.04.03
-
7
-
총괄A-B 합동 세미나
-
총괄A-B 합동 세미나 - 일시: 2025년 2월 13일 11:30~ - 장소: 과학관 321호 - 발표자 양종희 교수(화학과) :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이산화탄소 흡착 및 전환 반응 최적화 설계 김상민 교수(화학과) : 인화합물을 활용한 차세대 흐름전지 김우재 교수 (화학과) : 전하이동 현상의 분광학-표면전기화학 동시 측정
-
G-램프(LAMP) 사업단
2025.04.03
-
6
-
총괄B과제 세미나
-
총괄B과제 세미나 - 일시: 2025년 2월 10일 11:30~ - 장소: 과학관 111호 - 발표: 박성민 교수 (신소재공학과) : 2차전지 전극 소재 오페란도 분석 발표 홍준영 교수 (생명시스템생물학과) : 면역체게 프로그래밍 발표
-
G-램프(LAMP) 사업단
2025.04.03
-
5
-
총괄C과제 성과교류회(램프포닥, 2차)
-
총괄C과제 성과교류회(램프포닥, 2차) - 일시: 2025년 2월 19일 10:30~ - 장소: 온라인 줌 회의 - 발표자: 마사루 코구레 박사 - 대기중력파와 조석파에 관한 연구 실적 및 성과 발표 양우림 박사 - 식물내 유전 물질에 관한 연구 실적 및 성과 발표
-
G-램프(LAMP) 사업단
2025.04.03
-
4
-
총괄C과제 성과교류회(램프포닥, 1차)
-
총괄 C과제 성과교류회(램프포닥, 1차) - 일시: 2025년 2월 12일 14:00~ - 장소: 온란인 줌 회의 - 발표자 및 발표내용: 신혜림 박사 : 뼈 생물학에 대한 연구 실적 및 성과 발표 이주헌 박사 : 구름물리와 관련된 연구 실적 및 성과 발표 황도헌 박사 : 해양 및 연안 자연재해에 대한 원격 탐사 연구에 대한 실적 및 성과 발표 김바름 박사 : 미세플라스틱의 인체에의 영향 실적 및 성과 발표
-
G-램프(LAMP) 사업단
2025.04.03
-
3
-
총괄C과제 성과교류회 (램프교원, 1차)
-
총괄C과제 성과교류회 (램프교원, 1차) - 일시: 2025년 2월 10일 11:00~ - 장소: 백양관 N501호 중회의실 - 발표자: 홍승의 교수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과학과) 총괄C과제 홍승희 교수가 총괄B과제의 홍준영 교수와 수행한 공동연구에 대한 발표회를 가짐: 자가면역질환의 근본적인 병리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면역세포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자 함. 특히, 자가면역질환에서는 과도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특정 T세포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연구진은 CAR-Treg(Chimeric Antigen Receptor T regulatory cell) 기술을 활용하여 치료 타겟이 될 T세포를 선별하는 연구를 진행 중
-
G-램프(LAMP) 사업단
2025.04.03
-
2
-
총괄A과제 성과교류회
-
총괄A과제 성과 교류회 - 일시: 2025년 2월 20일 10:30~ - 장소: 연세대학교 과학관 401C
-
G-램프(LAMP) 사업단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