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Introduction

학과소개

졸업 후 진로

 


1) 학부과정에서는 심리학의 기초과정과 실습을 통한 연구방법 훈련 그리고 심화과정과목을 통해서 연구와 응용에 관련된 이론과 사례연구 등을 통하여 일반과정을 소개한다. 따라서 학부에서 심리학을 전공하면 심리학도로서 필요한 기초지식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으나 사회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연구경험과 연구능력을 갖춘 석사학위 이상의 자격경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대학원 과정에서 사회 및 산업 심리학, 상담 및 학교 심리학, 임상 심리학, 지각 심리학, 인지공학 심리학, 발달 심리학, 인지 심리학 등 학생이 각자 관심이 있는 영역을 전공할 수 있다.

2) 상담, 학교 , 임상, 발달 심리학 전공자는 교육계, 종교계, 산업계, 그 밖에 정신병원이나 가정병원, 의과대학 등 공공기관에서 전문가의 역할을 하거나 개인적인 치료활동을 한다.

3) 사회, 산업심리학 전공자는 기업의 연수부나 광고회사, 정당, 연구소 등에서 종업원훈련, 광고제작, 소비자 태도조사, 여론조사, 매스컴 효과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4) 인지, 지각심리학, 인지공학 등 실험심리학 전공자는 기업, 연구소에서 인간의 사고, 의사결정, 문제해결, 자연언어처리, 시각, 멀티미디어 개발 등과 관련된 연구를 하여 소프트웨어개발, 제품디자인, 기계설계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5) 조기교육 프로그램, 약물방지 프로그램, 청소년 훈련 등 공공프로그램을 제작 및 평가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심리학 전공자는 인간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면 어떤 직업을 택하든지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6) 미국 심리학회의 경우 48개 분과 학회는 적극적인 연구, 교육, 사회봉사 그리고 정책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최근까지 우리나라 심리학 분야의 진출은 학교와 연구소에 주로 편중되어 있고 심리학 전문가로서 사회의 다른 분야로의 진출은 부진한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 한국 청소년 연구원, 한국 형사정책 연구원 등의 국책기관, 대기업의 연수원과 연구소, 방송사 등에서 심리학 전문가들을 필요로 하여 채용하고 있다. 특히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인가의 원리를 규명하는 심리학의 필요성이 사회에 급속히 인식되고 있으므로 조만간 우리사회에서 심리학에 대한 요구는 더욱 늘어날 것이며 심리학자에 대한 요구도 빠른 속도로 급증할 것이다.

 

 
 
   

학과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