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제목
[논문] 2017. 단체카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 연구
작성일
2019.04.13
작성자
소셜오믹스
게시글 내용

진경선, 김수연, 정유경, 송현주, 송민. (2017). 단체카톡방 언어성폭령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289-313.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195768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학 내 소셜네트워크 단체 채팅방 (단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텍스트 분석 연구(연구 1)와 심리학 설문 연구(연구 2)를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단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해당 사건에 대한 인터넷 뉴스기사를 수집하고, 댓글들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댓글에 동시출현한 단어 쌍을 이용하여 단어 동시출현 네트워크를 생성하였으며, 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댓글의 하위토픽들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단어 동시출현 네트워크는 가해자/피해자가 속한 환경인 대학과 관련된 단어, SNS 상 언어성폭력의 특징과 관련된 단어, 그리고 여성 혐오를 표현하는 단어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토픽모델링 결과 댓글의 주요 주제로 교육, 사회문제, 여성비하, 성적표현 토픽 등이 도출되었다. 연구 2에서는 사람들이 단톡방 언어성폭력의 공공성과 그 피해를 인식하는지 알아보고자, 단톡방 언어성폭력 사건에 대한 태도를 사적언어성폭력, 그리고 피해자에게 직접적으로 가하는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와 비교하였다. 참가자들은 이 중 한 사건의 가상 시나리오를 읽고, 범죄의 크기, 적정 처벌의 정도, 가해자 및 피해자 책임,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 사건을 알리는 고발 행위의 도덕성, 고발 행위의 집단 명예 실추 여부, 그리고 고발 의지에 대해 응답하였다. 그 결과,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 고발 행위의 도덕성, 고발 의지에 있어서는 단톡방 사건을 직접적 언어성폭력과 유사하게 인식한 반면, 고발 행위의 집단 명예 실추 여부에 대해서는 단톡방 사건을 오프라인 사적 언어성 폭력과 유사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가적 성 차별주의가 높을수록 단톡방 언어성폭력 범죄의 크기를 더 낮게 인식하고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을 덜 느끼며, 고발 행위의 도덕성을 더 낮게 평가한 반면, 도덕가치에 있어 집단적 가치보다 개인의 평등에 가치를 둘수록 범죄 크기, 피해자에 대한 동정심, 고발 행위의 도덕성 등을 더 높게 평가하는 등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Abstract

Recently, some cases of college students’ violent sexual comments about other-gender classmates in their private group-texting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 present research explored people’s attitudes toward such cases from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study 1, using a text-mining method, we analyzed users’ comments to online news articles of the recent incidents of college students’ sexual harassment in group-texting. Co-word networks analysis identified co-occurring word groups of ‘college,’ ‘sexual comments in social-networking context,’ and ‘misogyny.’ Topic-modeling analysis also revealed major topics of the comments, for example, ‘education,’ ‘social problems,’ ‘degradation of women,’ and ‘sexual expressions.’ In Study 2, we explored people’s attitudes towards scenarios of violent sexual comments and whistle blowing in three different contexts-in a group-texting, an offline private conversation, and a direct sexual harassment contexts (as a between-subject design). Participants in the group-texting condition and the direct condition showed higher sympathy to the victim and higher willingness to blow the whistle than did those in the private condition, suggesting that they perceived the group-texting context as public to some degree. However, regarding the reputation of ingroup, participants in the group-texting and in the private conversation conditions rated the whistle blowing as more damaging to the reputation of ingroup than did those in the direct condition. The relations between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the scenarios and two measures of individual differences (ambivalent sexism, a fairness-loyalty tradeoff) were also discussed.


연구의의

본 연구는 현재 사회적으로 중대한 이슈인 대학 내 소셜 네트워크 단체 채팅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텍스트마이닝 분석과 심리학 설문 연구를 통해 학제적으로 탐색한 융합 연구임. 해당 뉴스에 달린 댓글의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교육, 사회문제, 여성비하 등이 도출되었음을 발견하였고, 심리학 분석을 통하여 언어성폭력 사건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 변인을 측정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