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
- BK세미나 [09/25] High-Bandwidth Optical I/O Technology for Next-Generation Interconnects
- BK21 지능형반도체 IT 융합 혁신인재 양성사업단 세미나 제목 : High-Bandwidth Optical I/O Technology for Next-Generation Interconnects 연사 : Dr. Daniel Jeong / Ayar Labs 일시 : 2023년 9월 25일 (월) 16:00 장소 : 제4공학관 D510호 내용: With the advent of the chiplet technology, optical I/O is gaining lots of traction and expected to provide high-bandwidth, energy-efficient, and low-latency interconnect solutions. In this talk, we’ll go over the existing interconnect solutions and present how the optical I/O solution can overcome the existing problems. 초청자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박관서 교수 (kwanseo@yonsei.ac.kr)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관리자 2023.09.22
-
7
- 세미나 [02/11] 딥러닝으로 드래곤 길들이기( How to train your dragon via deep learning)
- < BK21 플러스 BEST 정보기술 사업단 세미나 개최 안내 > 개최일시 : 2020년 2월 11일 (화) 13:00 ~ 15:00 개최장소 : 제3공학관 C716호 세미나 제목 : 딥러닝으로 드래곤 길들이기( How to train your dragon via deep learning) 내용 : 두발로 걷고, 뛰고, 구르는 사람의 다양한 움직임을 컴퓨터로 재현하는 문제는 컴퓨터 그래픽스 및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지난 수 십년간 연구되어 왔다. 특히, 모션 데이터로부터 캐릭터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데이터 기반 접근 방법"과 물리적 법칙을 통해 사실적인 움직임과 상호작용을 재현하는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및 제어 방법"이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사람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은 동물이나, 상상 속의 드래곤이 하늘을 나는 방법을 알아내는데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딥러닝에 의한 기술 혁신은 데이터 기반 접근방법과 물리 시뮬레이션, 양쪽 모두에 혁신적인 발전을 이끌고 있다. 이 강연에서는 지난 20년간 캐릭터 애니메이션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딥러닝 기술이 캐릭터 애니메이션 분야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최신 기술들이 게임과 같은 대화형 응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강연자 성함&직함 / 소속 : 이제희 교수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청자 :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이상훈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관리자 2020.04.03
-
6
- 세미나 [02/10] Research and development on monolithic III-V/Si Mach-Zehnder modulators for Si Photonics
- < BK21 플러스 BEST 정보기술 사업단 세미나 개최 안내 > 개최일시 : 2020년 2월 10일 (월) 11:00 ~ 12:00 개최장소 : 제3공학관 C716호 세미나 제목 : Research and development on monolithic III-V/Si Mach-Zehnder modulators for Si Photonics 내용 : Si Photonics is considered as the most promising key technology to meet the requirement on ever-increasing data transmission capacity in data centers and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s. IMEC Si Photonics technology has been remarkably contributing not only to pioneering researches but also delivering it to industries, as one of the main players. In this talk, I will present rec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device improvement of a Si-based on Mach-Zehnder modulator,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ilding blocks in an optical transceiver. Two approaches of introducing Si PN vertical junction and monolithic III-V technologies for next-generation Si photonics will be discussed. 강연자 성함&직함 / 소속 : 김영현 박사 / IMEC Belgium 초청자 :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최우영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관리자 2020.04.03
-
5
- 세미나 [02/03] Coloration and cooling strategies for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 < BK21 플러스 BEST 정보기술 사업단 세미나 개최 안내 > 개최일시 : 2020년 2월 3일 (월) 16:00 ~ 17:00 개최장소 : 제4공학관 D406호 세미나 제목 : Coloration and cooling strategies for wearable device applications 내용 : Passive cooling requires no electricity which provides oppotunities to solv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global energy crisis. The key behind this is releasing heat directly to the outer space. In this point of view efficient radiative cooling is realized by using efficient selective emitters (SE) that radiate heat through the atmospheric transparency window. For daytime cooling, broadband solar reflectors are also required to minimize heat generation from the solar power. Recent advances in passive radiative cooling enable daytime cooling via tailored photonic designs [1-4]. However, the use of these daytime radiative coolers is restricted owing to their non-aesthetic appearance resulted from strong solar reflection. Here, we introduce a colored passive radiative cooler (CPRC) capable of generating potential cooling power. This CPRC not only selectively emits infrared wave through the atmospheric transparency window but also displays subtractive primary colors (i.e., cyan, magenta, and yellow) to exhibit the desired appearance. Successful demonstration of cooling/coloring behavior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s under solar irradiation represents a major step forward in the field of temperature-sensitive, flexible, wearable electronic/optoelectronic devices. 강연자 성함&직함 / 소속 : 송영민 교수 / GIST 초청자 :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이태윤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관리자 2020.04.03
-
4
- 세미나 [01/30] Towards Sub-4-bit Quantization of Optimized Mobile Networks
- < BK21 플러스 BEST 정보기술 사업단 세미나 개최 안내 > 개최일시 : 2020년 1월 30일 (목) 11:00 ~ 12:00 개최장소 : 제4공학관 D503호 세미나 제목 : Towards Sub-4-bit Quantization of Optimized Mobile Networks 내용 : 4-bit quantization of optimized mobile models such as MobileNet-v3 is challenging due to recently adopted architectural optimizations. According to our observation, it is mainly limited by activation instability incurred by weight quantization (AIWQ). In order to mitigate the effect of AIWQ, a novel training method called BN last (BLast) is proposed. In addition, a differentiable quantization method called DuQ is proposed that improves upon the state-of-the-art quantization method. Our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s offer 4-bit weight/activation quantization of MobileNet-v3 on ImageNet at a negligible accuracy loss (0.916 %) from the full-precision top-1 accuracy. 강연자 성함&직함 / 소속 : 박은혁 연구원 / 서울대학교 초청자 :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김한준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관리자 2020.04.03
-
3
-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standard essential patents - ...
- < BK21 플러스 BEST 정보기술 사업단 세미나 개최 안내 > 개최일시 : 2020년 2월 4일 (화) 10:00 ~ 12:00 개최장소 : 제4공학관 D407호 세미나 제목 :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standard essential patents - how to write SEP from engineer’s perspective- Exploring Key features in NR V2X and rel. 17 items in 3GPP 내용 :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standard essential patents - how to write SEP from engineer’s perspective- Exploring Key features in NR V2X and rel. 17 items in 3GPP (제목과 동일) 강연자 성함&직함 / 소속 : 채혁진 Independent Researcher 초청자 :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김동구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관리자 2020.04.03
-
2
- 세미나 [01/14] WDM 인터커넥션용 실리콘 파장대역필터기술과 앞으로의 개발동향
- < BK21 플러스 BEST 정보기술 사업단 세미나 개최 안내 > 개최일시 : 2020년 1월 14일 (화) 11:00 ~ 12:00 개최장소 : 제3공학관 C029호 세미나 제목 : WDM 인터커넥션용 실리콘 파장대역필터기술과 앞으로의 개발동향 내용 : 메가데이터센터의 통신용량은 끊임없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데이터 신호처리용량의 증가와 소비전력의 감소가 요구되고 있다. 광기술의 주요한 이점은 수백미터에서 수십킬로미터에 이르는 장거리전송 뿐만 아니라 파장(wavelength), 편광(polarization), 모드(mode) 또는 위상(phase)의 다중화(multiplexing)를 통한 통신대역폭의 비약적인 증가에 있어, 차세대 데이터 센터에서의 도입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실리콘 반도체재료에 기반하는 포토닉스 기술은 20 여년전부터 이러한 플랫폼을 실현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CMOS 공정기술을 활용한 제조공정기술 및 SOI (siliconon-insulator) 웨이퍼 제조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실리콘 광기능소자의 성능은 기존의 III-V 족 화합물반도체나 SiN 를 이용하는 소자와 필적할 정도로 향상되었고, 현재 수많은 광기능소자의 대규모집적화를 통한 초소형화 및 양산에 관한 실험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파장다중화(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인터커넥션을 위한 소자기술의 한가지로서 실리콘 광배선에 기반하는 대역필터기술의 기술동향과 다양한 WDM 규격에 대한 대역필터기술의 연구개발내용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관하여 논의한다. 강연자 성함&직함 / 소속 : 정석환 교수 / 수원대학교 초청자 :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최우영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관리자 2020.04.03
-
1
- 세미나 [01/07] Wireless multifunctional MEMS neural probe system for studying neural circuits in-vivo
- < BK21 플러스 BEST 정보기술 사업단 세미나 개최 안내 > 개최일시 : 2020년 1월 7일 (화) 16:00 ~ 17:00 개최장소 : 제4공학관 D406호 세미나 제목 : Wireless multifunctional MEMS neural probe system for studying neural circuits in-vivo 내용 : Investigation and modulation of neural circuits in vivo at the cellular level are very important for studying functional connectivity in a brain. Recently, neural probes with stimulation capabilities have been introduced, and they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tudying neural activities at a specific region in the brain using various stimuli. However, previous methods have a limitation in dissecting long-range neural circuits due to inherent limitations on their designs. Moreover, the large size of the previously reported probes induces more significant tissue damage. Herein, we present a multifunctional multi-shank MEMS neural probe that is monolithically integrated with an optical waveguide for optical stimulation, microfluidic channels for drug delivery, and microelectrode arrays for recording neural signals from different regions at the cellular level. In this work, we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functionality of our probe by confirming and modulating the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the hippocampal CA3 and CA1 regions in vivo. Also, we developed wireless multifunctional neural probe system for investigation of neural circuits with behaving mice. 강연자 성함&직함 / 소속 : 조일주 책임연구원 / KIST 초청자 :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이태윤
-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관리자 2020.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