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Course

석사과정

전공과목

국제관계·안보전공

국제관계/안보전공 과목
학정번호 교과목명 과목설명
GPB6001 국제관계론(International Relations) 국제체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국제관계 현상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국제관계이론들을 중점적으로 연구 분석한다. 특히, 세력균형이론, 세력전이이론, 패권안정론, 동맹이론, 전쟁억지론 등을 연구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진행 중인 동아시아 국제관계 현상, 즉 북한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중국위협론, 일본의 정상국가화, 미국 패권체제 등을 심도있게 분석한다.
GPB6002 외교정책특강(Seminar in Foreign Policy) 외교정책연구를 위한 기본적 접근방법과 외교방법 및 외교정책의 일반적 정향으로서 고립, 중립화, 비동맹, 동맹을 분석한다. 외교정책목표로서 국가목표와 국가이익을 분석하며, 외교정책형성과 이행에 작용하는 요인으로 지리, 자원, 인구, 과학기술, 이념, 윤리, 군사력, 국제체제를 분석한다. 또한 국가간의 외교협상에 관한 이론을 분석한다.
GPB6003 안보론(National Security) 안보의 개념, 요소, 국제 및 국내환경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소개하는 과정이다. 먼저 안보의 개념과 요소를 개관한 뒤 한반도의 국제환경을 미, 일, 중, 러등의 외교안보정책의 시각에서 연구한다. 이어서 남북한 관계의 쟁점과 대화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안보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GPB6004 외교안보세미나(Seminar in Security and Diplomacy) 이 강의는 국제관계의 핵심 요소인 외교와 안보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 외교의 본질, 국제관계에 있어서 외교의 중요성, 양자간의 외교와 다자간 외교, 국내정치와 외교사이의 관계, 안보의 본질, 안보의 속성, 안보와 환경 등의 주제를 분석한다.
GPB6005 국제관계특강(Seminar in International Relations) 본 강좌는 국제관계론 분야에서 이론적 측면과 국제 문제라는 두 분야로 구분하여 강의한다. 국제관계 이론에서는 고전적인 개념으로부터 현대적인 이론을 항목별로 강의하며, 국제문제에서는 특히 국제정치분야에서 문제가 되는 항목을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GPB6006 국제분쟁(Seminar in International Conflict) 현대 국제정치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국제분쟁의 동기, 유형, 과정, 해결방법 및 핵시대에 있어서의 특징을 고찰한다.
GPB6007 국제정치경제특강(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국제관계를 정치경제 분석방법으로 연구하는 과목이다. 따라서 이론편에서는 국제정치경제의 삼대 분석모델인 자유주의의 상호의존모델, 급진주의 종속모델 및 절충주의의 신중상주의 모델을 설명하고, 동 모델에 입각하여 실제편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무역통화 및 다국적 기업에 의한 투자와 기술의 해외이전문제를 집중 연구한다.
GPB6008 세계화시대의 국제기구(Globalization & International Organization) 세계화 시대에 국제기구 및 국제 NGO단체들이 국제질서 안정이 미치는 역할과 중요성을 분석한다. 또한, 국제정치경제, 국제안보, 국제법, 인권 및 인간 안보 관련 국제기구, 규범, NGO 관련 사례연구를 한다.
GPB6009 현대국제법(Modern International Law) 급속히 발전해 가고 있는 현대의 국제법 상황을 개관한다. 교과내용으로는 국제법의 연원,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국가의 권리, 의무, 국가승인, 해양법, 외교관계, 조약법, 국제기구, 국제적 분쟁의 해결, 전쟁법의 등의 분야가 포함된다. 이를 통하여 국제관계에 있어 국제법의 역할을 밝힌다
GPB6010 국가안보와 정보(National Security And Intelligence) 국가의 정보관련 활동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논하며, 각 국가별 정보기관의 제도적 특성과 기능을 비교 검토한다. 특히 탈냉전기 국가 정보활동의 기능적 변화를 탐구한다.
GPB6011 동북아국제안보(International Security in East Asia) 이 강의는 동북아지역에서의 국제안보상황을 한반도를 중심으로 주변국가들인 미국, 중국,일본,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다룬다. 한반도의 통일문제에 관한 주변국가들의 정책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들 간의 관계가 한반도의 안전과 평화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다.
GPB6012 국제협력과 발전(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본 과정은 국제협력과 발전의 문제를 국제정치경제적 차원에서 탐구한다. 여기에서 다루어질 주요 주제들로는 통상과 발전, 지역주의와 다자주의, 국제금융, 동아시아 신흥개발국가, WTO, APEC, NAFTA, EU, ASEM등이다. 통상이 일국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 논의하고 특히 최근 들어 우리 경제의 개방화 및 국제화의 화두가 되고 있는 자유무역협약(FTA)의 문제를 경제적 차원뿐만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해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GPB7001 안보전략과 협력(Security Strategy and Cooperation) 이 강의는 안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략을 고찰하며 안보를 담보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인 국제협력을 양자간 협력, 지역적 협력, 타자간 협력 등의 여러 차원에서 분석한다. 특히 한국의 국가안보를 위해 어떠한 전략이 적절하며 어떠한 안보전략을 추구해야 하는 가를 다룬다.
GPB7002 한국외교정책(Korean Foreign Policy) 한국외교정책의 결정과정과 쟁점현안을 강의한다.
GPB7003 포괄적 안보론(Comprehensive Security) 기존 군사안보 중심의 안보론 논의를 확대하여 현대에 들어 보다 다양해지고 있는 안보의 구성요소를 다층적이고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설명한다. 특히 자원, 경제, 인간영역에서 고려해야 하는 안보적 요인을 탐구한다.
GPB7004 동아시아 국제관계사(East Asian International History) 동아시아 국제정치의 역사적 변천과정 속에 보여지는 지역질서의 장기적 변동을 탐구하고 주요사건들의 의미를 재조명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외교관계가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면서 발전했는지 규명한다.
GPB7005 국제정세분석(Analysis of International Affairs) 매주 실제 벌어지고 있는 국제관계의 다양한 현상과 사건을 분석하고 그 변화추이를 관찰하면서 국제정세에 대한 분석력과 예측기법을 함양한다.
GPB7006 국제협상론(International Negotiation) 국가간 협상과정에서 나타나는 국가의 행위와 다양한 현상들을 비교분석한다. 국제정세의 흐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주요 외교협상 사례들과 협상기법을 탐구한다.
GPB7007 군비통제론(Arms Control) 군비통제 관련 이론을 섭렵하고, 이를 바탕으로 냉전체제 이후 군비통제사, 탈냉전 이후 및 9.11테러 이후의 군비통제 관련 각국의 입장을 분석한다. 또한 한반도 주변 군비통제의 쟁점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GPB7008 위기관리론(Crisis Management) 국가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위기의 본질을 고찰하고 외교정책적 위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반 요건들을 탐구한다.
GPB7009 국제경제와 통상분쟁(International Economy and Trade Friction) 국가간 경제문제의 주요 이슈를 이론적으로 분석하면서 사례중심으로 접근한다. 특히 국가간 통상분쟁의 핵심요인과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GPB7010 외교협상과 게임(Diplomatic Negotiation and Game Theory) 외교 및 협상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공부한다. 또한 외교협상사례를 게임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기로 한다.
GPB7011 외교안보정책과 언론(Foreign&Security Policy and the Media) 본 강좌는 외교안보정책의 입관, 결정 및 수행과정에서 언론과 정부간의 관계를 집중 분석하는 과목이다. 외교통상부, 국방부, 통일부 및 청와대의 안보부서와 언론간에 주고받는 영향력과 정보통제, 국민의 알권리와 국민의 안전권, 국가안보 등의 사안을 둘러싼 줄다리기의 과정등을 실제 사례의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GPB7012 국제위기관리론(International Crisis Management) 국가간에 발생하는 위기와 이에 대응한 위기관리의 개념을 고찰하고, 위기관리의 전략, 위기관리 정책 결정의 주요 접근방법과 유형, 의사결정상의 원칙과 고려사항을 검토하며, 테러리즘과 위기관리에 관련한 내용과 국제위기관리의 사례분석, 그리고 주요 외국과 한반도의 위기관리체계를 탐구한다.
GPB7014 전쟁과 평화(War & Peace) 이 강좌에서 학생들은 카데시전쟁(기원전 1275년 경)과 인류최초의 평화조약 이후, 전쟁과 평화의 정치외교사에 관한 반추적 사색으로 초대된다.
GPB7016 민족주의와 동아시아 국제관계(National and East Asian) 동아시아에서 민족주의가 어떻게 동아시아 국가들의 국내/국제정치를 규정하는 동시에 규정당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일본 교과서 문제, 남경 대학살, 위안부 문제등을 둘러싼 갈등에서 보여지듯, 동아시아 민족주의 담론은 역사문제를 분쟁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의 하나로 만들었다. 다른 지역에 비해 특징적으로 보이는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본 과목은 어떻게 역사와 정치의 상호작용을 통해 역사적 이슈들이 정치화 되어가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GPB7018 동아시아 국제정치경제(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in East Asia) 동아시아 각국의 경제발전 전략이 동아시아 지역의 국제정치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목적으로 함.
GPB7019 국제기구와 국제재재(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International Sanctions) 국제기구가 국제관계에서 나타나는 국가간 갈등과 협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영향력이 안보, 경제, 비전통안보, 인권 등 이슈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다. 특히 국제재재의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경험적으로 국제기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GPB7020 세계화와 지속가능한 도시정치(Globalization and Sustainable Urban Politics) 국가간 협상과정에서 나타나는 국가의 행위와 다양한 현상들을 비교분석한다. 국제정세의 흐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주요 외교협상 사례들과 협상기법을 탐구한다.
GPB7006 국제협상론(International Negotiation) 세계화 현상과 이에 대응하는 도시들의 지속가능성 논의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세계화의 국가뿐만 아니라 도시의 상호의존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본 강의는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도시정치의 정치적, 정책적 논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 에너지 이슈들을 살펴봄으로써 세계화 시대 도시 정치의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GPB7021 인터넷시대의 국제분쟁(International Conflict in an Age of Internet Governance)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 사회는 이전에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이슈들과 그에 따른 여러 행위자간의 갈등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수업은 유래없는 인터넷 시대의 발전에 따른 국가와 사회 집단들, 경제추체들 그리고 개인이 겪는 분쟁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터넷 거버넌스에 대해 논의한다. 논의의 주제들로는 인터넷 거버넌스의 개념 이해, 인프라 스트럭처, 법적/제도적 장치, 경제/사회적 함의 등을 포함한다.
GPB7022 유엔과 세계질서(United Nations and World Order) 유엔을 중심으로 한 세계질서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유엔 설립의 세 가지 목표인 안보확립, 경제발전, 그리고 인권보장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이론적 측면과 실제 사례 측면에서 연구할 것입니다.
GPY6007 Current Issues - Local and Global  
GPY6009 Public Policy and Global Change This course will relate many of today’s most pressing global public policy dilemmas with academic debates in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opics will cut across security studies, political economy, foreign policy and diplomacy, international law and organization and domestic responses to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brought about by globalization. We will also build bridges between moral visions in political philosophy and empirical insights from the social sciences. No specific previous graduate courses in public administration are required, but students should be ready to take part in seminar discussions and complete the course work entirely in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