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Activity

Publications

Identification of an Online Informal Learning Model through Analyzing Online Messages
  • 저자김윤희
  • 출판연도2012
목차보기
				       		 
				       

비구조화 복잡학습과제의 협력학습 성과 분석
  • 저자양유정
  • 출판연도2012
목차보기
				       		이 연구는 비구조화 복잡과제 학습에서 부과되는 인지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협력학습 방식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수행되어 온 관련 연구들은 비구조화 복잡과제를 위한 학습환경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는데 관심을 집중해 왔으나, 복잡성이 높은 비구조화 복잡과제의 학습에서 부과되는 학습자의 인지부담을 간과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비구조화 복잡과제의 학습에서 발생하는 인지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협력학습 방식을 제안하고, 협력의 과정을 지원하는 전략으로서 협력기제의 활용을 함께 검토하였다. 비구조화 복잡과제의 학습에서 협력학습 방식이 비구조화 복잡과제의 인지부하를 조절하고 학습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블로그 기반의 학습환경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 104명이었으며, 이들을 개별학습, 협력학습, 협력기제 활용 협력학습 집단에 배정하였다. 학습성과 분석을 위해 학습과정 및 학습종료 시점에서 유형별 인지부하, 성취도와 전이도로 구성된 학습효과성을 측정하고, 학습효율성을 함께 산출하였다. 이상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비구조화 복잡과제 학습에서 협력학습 방식의 인지부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본질적 부하에서는 학습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내재적 부하에서 개별학습, 협력학습 집단에 비해 협력기제 활용 협력학습 집단이 낮았으며,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내재적 부하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비구조화 복잡과제 학습에서 협력학습 방식의 학습효과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취도에서는 학습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전이도 수준에서 개별학습, 협력학습 집단에 비해 협력기제 활용 협력학습 집단의 점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비구조화 복잡과제 학습에서 협력학습 방식의 학습효율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취도 측면의 학습효율성에서는 학습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전이도 측면에서 개별학습 집단에 비해 협력학습, 협력기제 활용 협력학습 집단의 학습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구조화 복잡과제에 대한 협력학습 접근은 학습과제 에서 부과되는 높은 내재적 부하를 낮추고, 이로 인해 여유로워진 인지용량을 학습을 촉진시키는 활동에 투자함으로써 학습효과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었다. 특히 협력기제의 제공은 협력에 의한 불필요한 과정을 줄이고 학습을 촉진시키는 활동을 적절히 유도함으로써 학습의 전이를 달성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비구조화 복잡과제 학습을 위한 협력기제의 체계적인 설계와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아울러 학습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협력학습이 인지부하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협력기제의 활용이 협력의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며, 학습방식에 따른 인지부하와 학습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AN ANALYSIS OF SOCIAL LEARNING CONSTRUCTS AND LEARNING PERFORMANCE IN CORPORATE INFORMAL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 저자이현경
  • 출판연도2012
목차보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learning constructs and learning performance,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media in corporate informal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initially identified major social learning constructs in informal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nd literature reviews. As a result, community, interaction, and social media were identified as environmental constructs, and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s individual constructs. Further, this study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learning constructs and learning performance. Based on this review, the hypothesized causal model was established between social learning constructs and learning performance. To verify the hypothesized causal model, a survey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71 questions and distributed to 523 employees who were currently using social media in corporations in South Korea.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전자 멘토링 실행 모형 개발을 위한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 규명
  • 저자편은진
  • 출판연도2007
목차보기
				       		교육 기회가 증가하고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지식과 정보의 습득이 수월해지면서 새롭고 가치있는 지식을 구성하고 효과적으로 학습 또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능력 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경쟁력있는 전문 능력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개인적인 노력이 요구됨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활발한 상호교류와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수의 학습자들이 학습 또는 업무 상황에서 겪는 심리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전문가를 연결해주어 학습자의 수행을 효과적으로 돕는 전자 멘토링이 확산되고 있다.
전자 멘토링은 멘토와 멘티간 물리적인 거리 제약과 바쁜 일정으로 인한 빈번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웹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멘티의 효과적 수행을 돕는 교육 방법으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멘티의 학습 또는 업무 수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심리사회적 어려움들을 전자 멘토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전자 멘토링이 어떤 과정으로 실행되어야 하고 어떤 전략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전자 멘토링에서의 심리사회적지지와 유의미한 인과 관계에 있는 요인 및 요인간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교육 상황에 전자 멘토링을 효과적으로 적용해 나가는데 기초가 되는 실행 절차와 전략을 다룬 전자 멘토링 실행 모형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 멘토링과 웹 관련 연구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해 심리사회적지지와 유의미한 인과 관계에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을 토대로 전자 멘토링에서의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 잠정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관련연구들을 통해 23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과 웹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전자 멘토링에서의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으로 설정한 전자 멘토링에서의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 잠정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 모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잠정 모형의 적합성을 최종적으로 검증하고 아울러 전자 멘토링에서의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 및 요인간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였다. 
전자 멘토링에서의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 규명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심리사회적지지와 유의미한 인과 관계에 있을 것으로 예측된 요인들, 관계효과성, 지각된 책무성, 조직 지원, 지각된 유사성, 학습 만족도 등 다섯 가지 요인들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심리사회적지지와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인과 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자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설정한 전자 멘토링에서의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 잠정 모형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었다. 모형의 적합도를 판정하기 위한 적합도 지수로는 비교부합지수(CFI), 비표준화 부합지수(TLI), 표준화 부합지수(NFI), 증분부합지수(IFI), 간명표준화 적합지수(PNFI)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적합도 지수값이 적합한 지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자 멘토링에서의 심리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관계효과성, 지각된 책무성, 조직 지원, 지각된 유사성 등 네 가지 요인 중 조직 지원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심리사회적지지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책무성과 지각된 유사성은 관계효과성에, 조직 지원은 지각된 책무성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사회적지지는 학습 만족도에 .659라는 큰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조직 지원은 심리사회적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지각된 책무성과 관계효과성을 매개로 하여 심리사회적지지와 학습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심리사회적지지에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된 지각된 책무성은 관계효과성, 조직 지원 등 다른 요인들과 직간접으로 인과 관계에 있으면서 간접적으로 심리사회적지지와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사회적지지 교류에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자 멘토링에서 심리사회적지지와 유의미한 인과 관계에 있는 요인으로는 관계효과성, 지각된 책무성, 조직 지원, 지각된 유사성, 학습 만족도 등 다섯 가지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상에서 멘토가멘티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러한 도움을 멘티가 효과적으로 받도록 돕기 위해서는 규명된 다섯 가지 요인들이 실제에 효과적으로 적용, 활용될 수 있는 전략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해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간 직간접 관계 규명은 웹 상에서 멘토의 도움을 통해 멘티가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효과적인 학습 또는 업무 수행을 이루어낼 수 있는 유의미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멘티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이 증가하고 전자 멘토링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심리사회적지지 인과 요인간 관계 규명은 성공적인 전자 멘토링 실행을 위한 전략 수립 및 발전에 토대가 될 것이다. 셋째, 심리사회적지지를 매개로 한 요인간 간접적 효과를 볼 때 전자 멘토링을 통해 멘티가 인식하게 되는 학습에 대한 만족도는 멘토와 멘티간 주고받는 심리사회적지지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멘토링을 통한 심리사회적지지 교류에 있어서 심리사회적지지와 같은 멘토링 기능이 미치는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음을 검증해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멘토링 연구에서 멘토링 기능이 갖는 설명력이나 위치가 간과되거나 모호하게 취급되어온 상황들에 비추어볼 때 멘토링 기능을 구분하고 그 인과 요인 규명을 토대로 구안한 전자 멘토링 실행 모형은 멘토링 과정의 지속적인 개선과 전자 멘토링의 실행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군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웹 기반 학습 활용 촉진 요인 간 관계 규명
  • 저자임의수
  • 출판연도2006
목차보기
				       		군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군 조직구성원들이 인터넷 기반 학습체제를 통하여 자발적, 지속적으로 전문지식을 습득하거나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수립·실천해야 한다. 이에 따라 혁신의 확산 이론과 기술수용모형을 통하여 군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키는 주요 요인들을 밝혀내고, 관련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웹 기반 학습 활용 촉진 구조모형을 개발하여 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웹 기반 학습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을 토대로 웹 기반 학습 활용 촉진 잠정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사전연구들로 부터 검증된 설문문항을 도출하여 28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직접설문과 군 인트라넷 망을 이용한 웹 설문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모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잠정 설정한 웹 기반 학습 활용 촉진 구조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여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켜 주는 관련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그리고 전체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켜주는 관련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학습의 활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정보기술에 대한 사전경험, 자기효능감, 상대적 유용성, 사용용이성, 주관적 판단, 지원 등 여섯 가지 요인들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 시켜주는 주요 요인들로 확인되었다. 둘째,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구조모형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한 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 표준화 값이 2.293으로 적정 기준치인 2~3을 충족하였으며, 증분부합지수(IFI)가 .911, 비표준화 부합지수(TLI)가 .900, 비교부합지수(CFI)가 .910으로 기준치인 .9보다 높았다. 아울러 근사평균 오차제곱근(RMSEA)도 .075로 적정 기준치인 .08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켜 주는 여섯 가지 주요 요인들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키는 여섯 가지 주요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그리고 전체적인 인과효과에서는 주관적 판단이 웹 기반 학습 활용에 가장 큰 영양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었다. 다음으로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상대적 유용성으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에 있어서 직접적으로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자기효능감과 사용용이성으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고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기술에 대한 사전경험은 웹 기반 학습의 활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도 정보기술에 대한 사전경험과 마찬가지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은 학습자 특성에서 정보기술의 사전경험과 자기효능감, 혁신의 속성에서 상대적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환경 요인에서 주관적 판단과 지원 등 모두 여섯 가지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 시켜주는 여섯 가지 주요 요인들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통한 확산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때, 비로소 군 간부들은 웹 기반 학습에 대한 자기 자신의 인식을 새롭게 전환하고, 이를 받아들이며, 이후 활용을 가속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군 인적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체제적인 접근을 통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켜주는 여섯 가지 주요 요인들에 관한 구조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켜주는 여섯 가지 주요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는 힘과 구조를 검증하기 위한 체제적인 접근 노력은 군 간부들로 하여금 웹 기반 학습의 활용에 대한 당위성과 시너지를 극대화시켜 줄 것이다. 또한 군 조직의 학습 문화를 조기에 정착시키고, 보다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군 인적자원을 개발 할 수 있도록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이다. 셋째, 군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켜주는 여섯 가지 주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주관적 판단과 상대적 유용성은 웹 기반 학습의 활용과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보기술 사전경험, 주관적 판단, 자기효능감, 사용용이성, 지원 등은 웹 기반 학습의 활용과 간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웹 기반 학습의 활용을 촉진시켜 주는 여섯 가지 주요 요인들에 대한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들은 군 간부들이 웹 기반 학습을 활용하거나 활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군 인적자원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최종 확정된 웹 기반 학습 활용 촉진 구조모형을 적용한 전략적 접근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교육 플랫폼의 효용도 평가도구 개발연구
  • 저자김성완
  • 출판연도2003
목차보기
				       		이 연구는 웹 기반 환경에서 교수-학습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해주는 전자교육 플랫폼의 효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선행연구에 기초해서 전자교육 플랫폼 평가를 위한 잠정적 준거모형을 도출했다. 이 모형은 7개 준거영역(교수-학습 관리, 상호작용, 평가, 정보제공, 화면디자인, 기술, 조직요구)과 23개 준거요소들로 구성되었
다. 이 준거모형을 토대로 우선 149개의 평가문항을 제작하였으나 문항 검토팀과 교육공학 전공 교수의 2단계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81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그런 다음 이 문항들을 가지고 전자교육 관련 전문가 133명을 대상으로, 전자교육 플랫폼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각 평가문항이 갖는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문항들의 중요도가 5단계 척도에서 전반적으로 3.05∼4.34 사이에 분포되어 모든 문항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이 자료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요인Ⅰ(교수-학습관리ㆍ화면디자인ㆍ기술), 요인Ⅱ(상호작용ㆍ평가)로 나뉘었다. 요인Ⅰ에 속한 문항들은 4개의 하위요인인 화면 및 시스템 설계 적합성, 과정 진행 수월성, 시스템 상호호환성 및 학사관리 적합성, 그리고 교수-학습 관리 용이성 및 멀티미디어 사용적절성으로 묶여졌다. 한편 요인Ⅱ에 속한 문항들은 3개하위요인인 상호작용과 평가의 유연성 및 사용자 통제성, 의사소통 및 평가의 다양성, 사용자 접근성으로 묶여졌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된 평가 준거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분석결과 모형의 적절성 여부를 알려주는 지수인 개략화 오차평균값은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으며, 비교합치도 및 비표준합치도는각각 높은 합치도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요인Ⅰ과 요인Ⅱ의 Cronbach α 값은 각각 .94과 .88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하위요인들의 값도 .78∼.86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전자교육 플랫폼 평가도구를 가지고 국내의 대표적인 전자교육기관의 플랫폼들을 대상으로 실제 현장에서 형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부 문항들이 다소 애매모호하거나 너무 포괄적이라는 지적과 기술적 차원의 문항들은 너무 전문적이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CD-ROM이라는 간접적인 평가방법으로 인해 발생된 문제로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해치는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렇게 볼 때 이 연구에서 개발된 전자교육 플랫폼 평가도구는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이 평가도구는 플랫폼 선정에 관한 의사결정, 플랫폼에 대한 질적 수준관리, 플랫폼 인증 등 다양한 맥락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 개발자와 컨설턴트, 전자교육 프로그램 운영자 등에게 플랫폼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성찰의 기회와 유용한 시스템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단서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