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문학 관련 정규 교과목 (2019년~2021년)
개설 교과목 및 교과목 개요 |
|
2019-1 |
생존 한국어: 디지털시대의 모바일 학습 정규 한국어 교육과정을 이수한 적 없는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으로 디지털 기술 및 모바일 미디어를 활용하여 한글을 배우고 한국 문화를 체험하는 초급 한국어 수업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읽기 치료 요법 - 우울과 불안 치료를 위한 웹툰 한국 역사에서 우울과 불안의 형성과 이해에 대해 배우고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우울과 불안의 읽기 치료 요법에 대해 웹툰을 중심으로 체험해 보는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 |
|
2019-계절학기 (여름) |
디지털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표현되고 있는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해 배우고 디지털 스토리텔링 방법에 대한 이론적 숙지를 기반으로 직접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해보는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 |
뉴미디어와 복합양식적 글쓰기 기존의 인문학적 서사 및 수사 이론을 바탕으로 온라인 플랫폼이나 소셜네트워킹 사이트 등에 적합한 텍스트를 배우고 학생들이 과제를 통해 직접 디지털 미디어 텍스트를 작성하는 수업 |
|
2019-2 |
디지털 언어 데이터와 인문학 디지털 언어 데이터의 분석과 해석에 관심이 있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언어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기초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 시각화의 방법론을 익히는 수업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디자인 인간중심, 행동중심, 문제해결 중심적 사고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이론을 활용한 혁신 기법을 학습하고 인문학 전공자로서 사회 문화 경제적 혁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는 산학협력 연계수업 |
|
인문학도를 위한 코딩(기초)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정보의 축적, 조직, 배포에 활용되는 기술과 디지털 데이터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파이썬 (Python)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다루는 수업 |
|
|
디지털 창작: 디지털 컨텐츠로 윤동주 읽고 쓰기 디지털 콘텐츠 창작 이론 및 디지털 영상 콘텐츠 편집 기술에 대해 익히며, 연세대학교의 윤동주 기념관 설립을 맞이하여 시인 윤동주와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창작 해보는 수업 |
인문학도를 위한 코딩(기초)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정보의 축적, 조직, 배포에 활용되는 기술과 디지털 데이터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파이썬 (Python)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다루는 수업 |
|
2020-1 |
한국문화유산과 디지털리터러시 유네스코에 등재한 한국 문화유산을 통해 한국문화유산을 탐색하고 외국인 학생들이 직접 문화유산을 선정하여 탐방하고 자신만의 시각으로 해석하여 디지털 방법론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결과물을 제작하는 수업 |
컴퓨터를 활용한 언어분석 전산처리의 기초가 되는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언어 분석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논의하는 수업으로 언어 정보 구축과 분석을 산학연계로 실습하는 과목 |
|
디지털문학의 창작과 비평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문학 실험의 역사를 살펴보고, 실제로 디지털문학의 각 유형을 선택하여 창작해보는 수업 |
|
디지털미디어와 포스트휴먼 (성찰) 4차산업혁명시대에 인간과 유사성을 지닌 '비-인간적' 존재가 등장하는,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 21세기 인간의 정체성을 인문학적인 시각으로 토론하며 답을 찾아가는 이론수업 |
|
디지털시대의 철학적 이해 디지털시대를 이끄는 첨단 과학의 이론적 기초와 철학적 의미를 살펴보는 이론수업 |
|
|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디자인 인간중심, 행동중심, 문제해결 중심적 사고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이론을 활용한 혁신 기법을 학습하고 인문학 전공자로서 사회 문화 경제적 혁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는 산학협력 연계수업 |
|
인문학도를 위한 코딩(기초)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정보의 축적, 조직, 배포에 활용되는 기술과 디지털 데이터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파이썬 (Python)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다루는 수업 |
|
2020-2 |
디지털 담화처리의 이해 인문학으로서의 언어학이 디지털 사회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소개하고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민하고 전망하며 유럽어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기초적인 지식과 디지털 도구를 소개하고 실습하는 수업 |
인문학도를 위한 코딩(중급)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정보의 축적, 조직, 배포에 활용되는 기술과 디지털 데이터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파이썬 (Python) 프로그래밍의 중급 과정을 다루는 수업 |
|
디지털미디어와 젠더(성찰과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의 이면에서 작동하는 문화적 감수성, 자연화된 국면에 주목하여, 젠더적 관점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성찰적으로 분석, 비평하는 수업 |
|
한국의 유산:전통과 지속가능성 한국의 다양한 세계유산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어떠한 국제 관계 속에서 한국의 유산이 해석되고 평가되는지를 이해하고 세계 시민으로서 소통하고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가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시각의 틀을 제공하는 수업 |
|
디지털 언어 데이터와 인문학 디지털 언어 데이터의 분석과 해석에 관심이 있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언어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기초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 시각화의 방법론을 익히는 수업 |
|
|
디지털 창작: 디지털 컨텐츠로 윤동주 읽고 쓰기 디지털 콘텐츠 창작 이론 및 디지털 영상 콘텐츠 편집 기술에 대해 익히며, 연세대학교의 윤동주 기념관 설립을 맞이하여 시인 윤동주와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재)창작 해보는 수업 |
인문학도를 위한 코딩(기초)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정보의 축적, 조직, 배포에 활용되는 기술과 디지털 데이터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파이썬 (Python)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다루는 수업 |
|
2021-1 |
한국의 유산:전통과 지속가능성 한국의 다양한 세계유산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어떠한 국제 관계 속에서 한국의 유산이 해석되고 평가되는지를 이해하고 세계 시민으로서 소통하고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가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시각의 틀을 제공하는 수업 |
컴퓨터를 활용한 언어분석 전산처리의 기초가 되는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언어 분석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논의하는 수업으로 언어 정보 구축과 분석을 산학연계로 실습하는 과목 |
|
디지털문학의 창작과 비평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문학 실험의 역사를 살펴보고, 실제로 디지털문학의 각 유형을 선택하여 창작해보는 수업 |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디자인 인간중심, 행동중심, 문제해결 중심적 사고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이론을 활용한 혁신 기법을 학습하고 인문학 전공자로서 사회 문화 경제적 혁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는 산학협력 연계수업 |
|
디지털미디어와 포스트휴먼 (성찰) 4차산업혁명시대에 인간과 유사성을 지닌 '비-인간적' 존재가 등장하는,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 21세기 인간의 정체성을 인문학적인 시각으로 토론하며 답을 찾아가는 이론수업 |
|
*이수가이드: 문과대학 공통과목은 학부생 중 단일전공자에 한해 전공학점(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며, 1과목(3학점)에 한하여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