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아카이브

제목
2022/10/12 [조선비즈] 인권위 “청소년 노동인권 증진방안, 노동·교육부 장관에게 권고”
작성일
2022.10.12
작성자
공익법률지원센터
게시글 내용

인권위 “청소년 노동인권 증진방안, 노동·교육부 장관에게 권고”


청소년 중 47%, 근로계약서 작성 안하거나 교부받지 못해

”청소년이 알기 쉬운 용어로 근로계약서 개발해야”


국가인권위원회가 청소년의 노동인권 증진을 위해 청소년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7일 인권위는 “지난달 27일 고용노동부 장관과 교육부 장관에게 청소년 노동인권 증진을 위해 청소년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 활성화와 노동인권교육 법제화 등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인권위가 지난 2020년 실시한 ‘청소년 노동 인권상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응답자 중 47%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거나, 작성해도 이를 교부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응답자의 12%는 ‘청소년 고용금지 사업장’에서 일한 경험이 있으며, 42.8%만이 최근 1년 사이 노동인권교육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인권위는 소년이 노동시장의 한 구성원으로서 충분히 존중받거나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청소년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 활성화를 권고했다. 구체적인 권고 내용은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의무사항, 관할 근로감독관청의 소재지와 연락처 등을 포함한 안내자료 를 제작, 사업주에게 제공하고 온라인을 통해 배포 ▲사업주가 청소년 근로자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곳에 안내자료를 게시하도록 지도·감독 ▲식당, 편의점 등 청소년이 많이 근무하는 업종의 근무 형태, 급여체계 등을 분석한 뒤, 알기 쉬운 용어를 사용하여 해당 업종의 특성을 반영한 업종별 표준 근로계약서를 개발 및 배포 등이다.                                                                                                                                                                                       

또한 청소년 보호를 위해 근로기준법상 18세 미만인 자의 사용금지 직종과 청소년 보호법상 소년출입·고용금지업소 및 청소년고용금지업소 등 사업장 유형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이를 알기 쉬운 용어로 설명하는 안내서를 여성가족부와 공동으로 마련해 배포하라고 권고했다. 사업주를 대상으로 한 노동인권교육 강화 방안 마련도 권고했다.                                                                                                                                                                            

인권위는 교육부장관에게는 청소년 노동인권교육 법제화를 추진하되, 법제화 이전이라도 노동인권교육의 독립 과목화, 교육내용 내실화 등을 추진하 여 청소년 노동인권교육을 활성화할 것을 권고했다.                                                                                                                                                         

인권위는 “이번 권고가 우리 사회 노동시장의 한 구성원인 청소년들의 노동인권 상황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국회에 발의된 관련 법률안 의 조속한 입법에도 도움이 되는 등 청소년 노동인권의 실질적 개선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