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5
- 난양공대-연세대 공대 방문 프로그램 성료 (2025.05.26)
- 난양공대-연세대 공대 방문 프로그램 성료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공과대학교가 주최한 '난양공대-연세 방문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은 난양공과대학교 학생 14명이 연세대를 방문해 교류를 가졌다. 연세대에서는 정종문 부학장과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 민경민 교수 및 기계공학과 BK 사업단의 Mirkomil Shripov 연구교수, 이지연 박사과정 학생, 그리고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신소재공학, 화공생명공학 소속 대학원생 4명이 참가하여 연세대 공과대학에 대한 소개와 실제 공과대학에 소속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대학원생들의 연구에 대해 소개하며 질의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난양공대 학생들과의 연세대 캠퍼스 투어 후 연세대 기계공학과 BK 사업단 대학원생들과의 점심 식사를 통하여 양 학교의 학생들이 자유롭게 교류하며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우정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양교는 학문적 교류를 넘어 학생 간 유대감을 형성하며, 향후 지속적인 협력과 상호 발전의 기반을 다지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기계공학부 2025.05.27
-
224
- 잉크젯 프린팅을 통한 종이 열음향 스피커 개발 (2025.04.25)
- 잉크젯 프린팅을 통한 종이 열음향 스피커 개발 기계공학과 김종백 교수 연구팀은 상용 잉크젯 프린터와 전도성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잉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응용 가능한 열음향 스피커(thermoacoustic loudspeaker)를 개발하였다. 열음향 스피커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원리에 있어,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구조물이 없다는 특징 덕분에 유연 스피커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의 열음향 스피커 연구들은 소리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수형 구조 혹은 매우 얇은 기판을 채택하여 소자가 반복적인 기계적 변형에 취약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종이 기판과 1차원 구조의 전도성 탄소나노튜브 구조의 결합을 통해 높은 데시벨(dB)의 소리를 출력하고 반복적인 기계적 변형 하에서도 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Miura-Ori 종이접기 패턴을 통한 접고 펼 수 있는 스피커 및 무지향성(omnidirectional) 소리 출력 스피커를 시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8.5)에 Back cover article로 게재되었으며 나노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글로벌 포털 사이트 Nanowerk에 소개되었다. 관련 링크: https://advanced.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dfm.202415218 https://www.nanowerk.com/spotlight/spotid=66101.php
- 기계공학부 2025.05.22
-
223
- 비정형 패턴을 활용한 고정밀 3차원 형상 복원 기법 개발 (2025.04.11)
- 비정형 패턴을 활용한 고정밀 3차원 형상 복원 기법 개발 기계공학과 현재상 교수 연구팀(1저자 손승재 통합과정)은 비정형 패턴을 활용한 구조광 기반 3차원 형상 복원 기술을 개발하였다. 기존 구조광 투사 장치에서는 직선형 패턴을 활용하여 3차원 형상을 복원하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광학적 왜곡, 렌즈 수차 등으로 인해 이상적인 패턴을 생성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정의된 기하 모델이 없이도 비정형 패턴을 이용해 고정밀 복원이 가능한 보정 기법을 제안하였고 실험적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2025년 4월, 광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Optics Express' 저널에 게재되었다. 관련 링크: https://doi.org/10.1364/OE.561136
- 기계공학부 2025.05.22
-
222
- 김원정 교수 대한기계학회 가산학술상 수상 (2025.04.03)
- 김원정 교수 대한기계학회 가산학술상 수상 기계공학부 김원정 교수가 대한기계학회에서 수여하는 ‘가산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유체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업적으로 학문 발전에 기여한 젊은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학술상이다. 가산학술상은 유정열(가산, 佳山) 전임회장이 2012년 12월 기증한 기금을 바탕으로 제정되었으며, 대한기계학회 산하 유체공학부문에서 매년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낸 연구자를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특히 유체공학의 발전 가능성과 창의성을 갖춘 차세대 연구자의 학문적 기여를 널리 알리는 데 그 의미가 있다. 김 교수는 대표 논문 *‘Dynamics of Water Imbibition Through Paper with Swelling’*을 포함한 다수의 연구를 통해 미소 스케일 유체공학 분야에서 기초 이론과 응용 기술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내 왔다. 그의 연구는 국내 유체공학 분야의 이론적 깊이를 확장하고, 실험 기반을 강화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기계공학부 2025.05.22
-
221
- 대용량 SOEC 스택의 내부 압력 제어를 통한 내부 분포 균일화 기술 개발 (2025.04.01)
- 대용량 SOEC 스택의 내부 압력 제어를 통한 내부 분포 균일화 기술 개발 기계공학과 홍종섭 교수 연구팀은 대용량 고체산화물 수전해 전지(SOEC) 스택의 내부 반응 분포를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고신뢰성 3차원 다중물리 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스택 내부의 압력 분포를 최적화하여 층간 연료 공급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모델과 설계 기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kW급 스케일의 SOEC 스택에 적용되어 연료 분포의 불균일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관련 성과는 2024년 4월, 국제 저명 학술지 Applied Energy (Impact Factor: 10.1)에 게재되었다. 관련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6261925000984
- 기계공학부 2025.05.22
-
220
- SOC 스택 내부 환경 균일화를 위한 비접촉식 외부매니폴드 개발 (2025.04.01)
- SOC 스택 내부 환경 균일화를 위한 비접촉식 외부매니폴드 개발 기계공학과 홍종섭 교수 연구팀(1저자 류동훈 석사)은 기존의 접촉식 외부매니폴드 구조를 대신하여 스택과 매니폴드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식 외부매니폴드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스택 내부의 다양한 열/유체/전기화학적 환경을 균일화하였다. 또한 스택과 매니폴드가 접촉하지 않는다는 특성으로 인해 전기적 단락이나 밀봉 실패와 같은 기계적 결함 또한 완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해당 연구 결과는 2025년 4월 국제 저명 학술지인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X' (Impact Factor: 7.1)에 게재되었다. 관련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590174525000662
- 기계공학부 2025.05.22
-
219
- 식물 건강 모니터링에서 비효소적 포도당 검출을 위한 K-도핑된 Co3O4로 장식된 미세 바늘 클립 개발 (2025.03.26)
- 식물 건강 모니터링에서 비효소적 포도당 검출을 위한 K-도핑된 Co3O4로 장식된 미세 바늘 클립 개발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류원형 교수 연구팀 (제1저자 윤재형 통합과정 학생, 공동저자 강정민 석사과정 학생)은 기계연구원 허신박사팀과 공동으로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로부터 칼륨이 도핑된 Co₃O₄ 촉매를 합성하여 비효소적 포도당 센서를 개발하였다. 해당 비효소 촉매는 전기화학 활성이 우수하여 985.57 μA/mM·cm² 의 높은 민감도와 373 μM 의 검출한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비효소 촉매를 3D 프린팅 기반의 마이크로니들 클립 센서(MN-Clip)에 적용함으로써, 식물 잎에서 광합성에 따른 포도당 농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효소 기반 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농업 분야에서 용이한 식물 건강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센서 기술로 세계적인 바이오 센서 분야 저널인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IF = 8.0, JCR 상위 0.8%)에 게재되었다. 관련 링크: https://doi.org/10.1016/j.snb.2025.137600
- 기계공학부 2025.05.22
-
218
- 세계 최고 효율 23.64% 달성한 초경량·고유연 태양전지—신개념 리프트오프 공정 개발로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전지 성능 혁신 (2025.03.21)
- 세계 최고 효율 23.64% 달성한 초경량·고유연 태양전지 — 신개념 리프트오프 공정 개발로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전지 성능 혁신 기계공학과 김해진 교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인영 선임연구원, 김기환 책임연구원, 경상국립대 이태경 교수 연구팀은 유연 탠덤 태양전지 제작 공정의 작업성과 전지의 유연성, 경량성을 높이기 위해 ‘리프트오프(Lift-off)’ 공정을 개발하고 태양전지의 성능 향상 원인을 규명했다. 이를 통해 제작된 페로브스카이트/CIGS 탠덤 태양전지는 23.64%의 전력 생산 효율을 나타내 세계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태양전지는 매우 가볍고 곡선 형태에도 부착될 수 있어 향후 건물, 자동차, 항공기 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2025년 3월 국제 저명 학술지인 'Joule' (Impact Factor: 38.6. JCR 상위 0.8%)에 게재되었다. 관련 링크: https://www.cell.com/joule/fulltext/S2542-4351(24)00508-7
- 기계공학부 2025.05.22
-
217
- 이중 대칭형 분리판 설계를 통한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균일성 및 성능 향상 (2025.03.01)
- 이중 대칭형 분리판 설계를 통한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균일성 및 성능 향상 기계공학과 홍종섭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이우석 박사)은 독일 DLR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의 열화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분리판 설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부 열 및 화학 반응 분포의 균일화를 위해 기존 분리판의 대칭성을 강화하였고, 그 결과 열 및 반응 환경의 균일성이 향상됨을 3차원 다중물리 해석을 통해 입증하였다. 해당 분리판 설계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미국, 일본, 한국에 특허 등록되었으며, 국내 SOFC 시스템 제작업체인 PNPenergytech에 기술이전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2025년 3월, 국제 저명 학술지인 Applied Energy (Impact Factor: 10.1)에 게재되어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관련 링크: https://doi.org/10.1016/j.apenergy.2024.125178
- 기계공학부 2025.05.22
-
216
- 대한기계학회 유체공학부문 2025 춘계학술대회 및 강습회, 연세대학교에서 성공적으로 개최
- 대한기계학회 유체공학부문 2025 춘계학술대회 및 강습회, 연세대학교에서 성공적으로 개최 지난 4월 2일부터 4일까지 연세대학교 백양누리에서 대한기계학회 유체공학부문 춘계학술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기계학회 유체공학부문과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육연구단 및 엑사스케일 선형해석자 수치라이브러리 개발사업단이 공동으로 주관하였다. 행사는 국내 유체공학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최신 연구 동향과 산업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응용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진행되었다. 특히 이번 대회에서는 연세대학교 조형희 교수가 초청 강연을 통해 "첨단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고효율 터빈기술"이라는 주제로 최신 연구 성과와 미래 기술 방향을 소개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올해의 가산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된 연세대학교 김원정 교수는 "갈륨 기반 액체금속의 접촉선 운동"이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하였다. 김 교수는 강연에서 액체금속 소재의 혁신적 활용과 유체역학적 현상 이해를 기반으로 한 최신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이끌었다. 이외에도 특별 세션과 다양한 주제의 일반 세션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해 활발한 학술적 교류가 이루어졌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구두 발표 126건과 포스터 발표 31건 등 총 157건의 연구 성과가 발표되었으며, 약 300여 명의 참석자가 참여해 유체공학 분야의 최신 트렌드를 공유했다. 학술대회 조직위원장인 연세대 최정일 교수는 "이번 행사를 통해 유체공학 분야의 학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산학협력을 촉진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다"고 전했다.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국내 유체공학 분야의 연구 역량을 널리 알리고, 차세대 연구자들에게도 우수한 학문적 네트워크의 장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기계공학부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