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제목
기계공학부 학부생 2020-1학기 연구참여 프로그램 신청서 제출기한 변경 안내 (MEU3006 학부연구 수강 관련)
작성일
2020.06.27
작성자
기계공학부
게시글 내용

기계공학부 학부생 2020-1학기 연구참여 프로그램 안내

 

기계공학부에서는 2018년부터 1~4학년 학생들이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수업에서 다루지 못한 재미있고 깊이 있는 기계공학 지식을 공부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참여 및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이 전공 분야에 대한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고, 가치 있는 미래를 꿈꿀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특히, 2019학년도 교과과정 개편 이후 학부생이 연구참여를 통해서 방학 또는 정규학기에 1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학부연구(MEU3006 ~ 3009)과목이 신설되었습니다.

 

연구참여]

아래에 첨부된 연구주제를 참고하여 관심있는 주제의 교수님께 이메일 등으로 연락을 드려 허락을 받은 후 첨부된 신청서 양식을 연구 시작과 동시에 학부사무실(D301호 양혜진 선생님)에 제출하면 됩니다. (양식 제출은 필수이며, 특히, 신청서 양식을 제출하지 않으면 20-1학기에 학부연구 과목의 학점을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교수님과 상의드려 2020학년도 1학기 기간 내에 최소 30시간 이상을 학과 실험실 등에서 연구에 참여한 후 소정의 보고서를 제출하면 평가하여 학부연구 교과목의 학점이 부여됩니다

, 학점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20-1학기 수강신청기간에 MEU3006 학부연구 과목의 수강을 신청해야 합니다

 

※ 2020학년도 1학기 강의가 비대면‧온라인 강의로 진행됨에 따라 '학부연구' 교과목을 수강신청한 학생들께서는 담당교수님과 상의하여 연구 참여 방법 및 기간을 결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부연구 신청서 제출기한: 4월 17일 오후 5시까지 학부사무실로 제출

   (비대면강의가 4월 10일까지로 연기된 관계로 신청서 제출일을 변경하였으므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양혜진 선생님(skyice@yonsei.ac.kr, 전화 2123-4426) 

 

 

2020-1학기 학부연구
       
연번 담당교수 연구주제 수용가능인원
1 조형희 가스터빈, 무인기, IR 스텔스, IR 메타, 보일링 열전달, 나노/마이크로 열전달 5
2 엄원석 추후 안내 2
3 윤준영 모터 모델링, 모터 제어 2
4 김대은 정밀 기계부품의 마찰 및 마모 특성 3
5 홍종섭 - 친환경 선박용 배기가스 저감 촉매 및 반응기 개발
- 수소연료전지 스택 해석 및 디자인 창출
- 배터리 안정성 향상을 위한 열관리 기술 개발
3
6 김우철 1. 인체 체열 발전을 통한 당뇨센서 구동
2. 복사냉각을 통한 차량내 온도 감소
2
7 류원형 1) 3D 프린팅 기술 이용 마이크로니들용 메쉬 제작 해보기 (1 명)
2) 스크린 프린팅 이용 마이크로 니들 제작 해보기 (1 명)
2
8 박노철 기계시스템 진동 해석 및 응용
자동차 진동 해석 및 응용
표면거칠기를 반영한 광학측정
6
9 이수홍 1. 딥러닝을 이용한 도로의 형태와 크기 추출 및 Swept Path Analysis를 통한 검증
(인원: 1~2명 / 대상 학년: 3학년 및 4학년 (딥러닝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많은 학생))
2. 모듈화 플랜트 운송을 위한 위성사진으로부터 장애물 추출 알고리즘 개발
(인원: 1명~2명 / 대상 학년: 3학년 및 4학년)
3.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비전 기반 군집 로봇 제어 연구
(인원: 1명 / 대상 학년: 3학년 및 4학년)
3~5
10 양현석 1. Tactile sensor를 이용한 로봇 손가락의 Contact force 및 position 추정 (1명)
2. Bowden cable actuation 시스템의 Stiffness control (1명)
2
11 김용준 1. 공기 중 나노입자의 정밀 모니터링을 위한 MEMS 기반 Water-based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WCPC) 특성평가
2. 금속 입자 모니터링을 위한 inductive method 기반 전기식 금속 입자 측정기 성능평가
3. 응축 성장에 기반한 전기식 나노입자 계수기 개발
3
12 강건욱 1. 백금 촉매 클러스터의 산소환원반응 예측(1명)
2. 2차원  ReS2  재료 표면에서의  산소분자(O2) 흡착 비율 예측(1명)
2
13 주철민 산술현미경 개발과 광열 기반 질병 측정 센서 2
14 이창훈 전산유체역학 2
15 장용훈 딥러닝을 이용한 접촉면 분포 계산,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한 마멸 해석 2
16 김종백 햅틱인터페이스 기술 (촉각 센싱 및 햅틱 디스플레이) 2
17 이준상 보톡스용 주사바늘 디자인 하기.
기도 형상 이미징의 그리드 자동화 프로그램 만들기.
전자담배의 호흡기 (respiratory system)내 입자 이동 모델링. 
3
18 임윤철 1) 유체 관로망 해석 (1명)
최대 15개의 파이프로 구성된 관로망에서 각 파이프 통과 유량 해석 프로그램 구축
2) 미세 채널유동 해석 (1명)
표면장력에 의한 미세채널 통과유량 해석 프로그램 구축

※ 두 과제 모두 (공학수치해석을 수강하여) 비선형 미분방정식을 다룰 수 있어야 하며 프로그램 구축 실패시 NP로 처리됨
2
19 정효일 1.전기화학 센서 집적 미세유체 기술 기반 전처리 자동화 플랫폼
2. 미세플라스틱 분리 및 분석을 위한 유체 칩 기술
3. 점탄성 유체 기반 미세유체 기술을 이용한 나노입자 분리 기술
4. 머신러닝 기반 칩 데이터 분석 기술 (필수: 파이썬 언어 가능자)
4
20 이형석 - 표면탄성파를 이용한 마이크로 입자의 3차원 조작
- 손상된 조직 치료를 위한 인공 조직 제작
- 기계적 수축이 가능한 인공 세포 제작
- 표면탄성파를 이용한 세포 조작 기술
- 입자 응축을 통한 프린팅 기술
2
21 최종은 1.영상 기반 행동 인지 알고리즘 및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XAI) (1명)
2.딥러닝 모델의 연산을 경량화한 binarized neural network (1명)
3.flexible thermal resistant을 이용한 VR 체험 극대화 (1명)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