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Process

자료실

동방학지 투고 안내

자료실 : 동방학지 소개 및 투고 안내

 

󰡔『東方學志』논문공모

 

 

 

『東方學志』는 1954년 제1집이 나온 이래 70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의 대표적인 인문과학분야의 종합전문학술지로서

국학연구원에서 기획한 특집 주제와 심사를 거친 국내외 저명학자들의 원고로 연 4회(3, 6, 9, 12월) 발간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러한 전통과 수준을 인정받아 한국연구재단의 심사를 거쳐 A등급 학술지, 등재학술지로 평가되었습니다.

국학연구원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국내외 학자들의 수준 높은 학술논문을 공모합니다.

 

 

 

  1. 논문의 주제

  * 한국학 가운데 언어·문화·역사·철학·종교 등 관련 분야.

  * 위의 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아시아 문화, 역사, 사상 분야.

  * 한국학연구의 다각화와 그 현대화를 모색함으로써 세계화를 적극적으로 지향하는 내용.

 

  2. 논문의 종류

  1) 특집원고: 기획된 주제에 대하여 본 연구원의 학술발표회를 통하여 발표하고 지정토론자의 논평 및 종합토론을 거쳐 선택된 논문.

  2) 일반투고: 개별적으로 논문을 작성하여 본 연구원에 게재를 신청한 논문 가운데 본 연구원의 심사 절차를 거쳐 채택된 논문.

 

  3. 논문의 공모방법

  1) 다른 학술잡지나 단행본 등에 발표하지 않은 순수 학술 논문을 원칙으로 한다.

  2) 원고는 연중 수시로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을 통해 접수하며, 반드시 투고자의 소속, 지위, 전공, 주소, 전화번호, E-mail 주소 등을 밝힌다.

  3) 원고는 반드시 한글(HWP, 97버전 이상)로 작성해야 한다. 분량은 200자 원고지 150매를 기준으로, 이를 초과할 때 게재료를 부과하기로 한다.

      원고의 분량이 200매를 초과할 경우 게재할 수 없다.

  4) 원고에는 국·영문초록과 국·영문핵심어(5~6개), 참고문헌을 첨부한다.

  5) 논문투고의 자격은 원칙적으로 제한을 두지 않으나 구체적인 규정은 본 연구원의 내부규정에 따라 정한다.

  6) 논문의 투고기한은 발간일 2달 전(1월 31일, 4월 30일, 7월 31일, 10월 31일)으로 한다.

 

  4. 제출처

  ∙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 http://kyobo016.medone.co.kr/html/

  ∙ E-mail: dongbang@yonsei.ac.kr

  ∙ 03722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03722 Institute of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5. 투고비용

  ∙ 게재료 및 심사료 무료 (단. 연구비를 지원받는 사사표기 논문은 게재료 30만원)

 

  6. 기타

  1) 제출된 원고는 본 연구원의 편집규정에 따라 공정한 심사를 거친다.

  2) 게재가 확정된 원고는 분량이나 주제를 고려하여 그 순서를 결정한다(매년 3, 6, 9, 12월 간기).

 

 

 

󰡔『東方學志』원고작성 원칙

 

  1. 논문제목, 차례, 필자명, 국문초록

  1) 차례에는 章과 節만 표시하며, 章은 1. 2. 3.으로, 節은 1) 2) 3)으로 한다.

  2) 필자소개는 ‘소속 및 직위, 전공분야.’의 형식으로 한다.
   예) 연세대학교 부교수, 국사학.

  3) 국문초록은 200자 원고지 6매 이내의 분량으로 하며, 5~6개의 국문 핵심어를 게재한다.

 

  2. 본문

  1) 논문의 본문은 한글 집필을 원칙으로 한다.

  2) 외국어로 작성된 논문이 투고된 경우, 심사 및 게재를 위한 제반사항을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하기로 한다.

  3) 한자 표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한자를 직접 사용하거나, 혹은 ‘한글(한자)’의 형식으로 서술한다. 다른 외국어의 표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한글(외국어)’의 형식으로 서술한다.

  4) 章·節의 표시형식은 차례와 같게 한다.

 

  3. 인용문

  1) 한자 또는 외국어의 문장 인용은 본문에 번역문을 싣고, 원문을 각주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부득이한 경우에만 한자 등 원문을 본문에

      노출시킬 수 있다.

 

  4. 각주

  1) 書誌 사항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밝히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다음과 같은 표기 순서와 원칙을 지킨다.

① 한국어·중국어·일본어로 된 논문은 「 」 안에, 단행본은 『 』안에 제목을 넣는다.

② 기타 외국어로 된 논문은 “ ” 안에 제목을 써넣고, 단행본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예) A. R. Zolberg, “Moment of Madness,” Politics and Society Vol. 2. No. 2, 1972, pp. 183~207.

         ③ 단행본의 경우에는 저자명, 책명, 출판지: 출판사명, 출판년도, 쪽수의 순서,

              정기간행물의 경우에는 저자명, 논문명, 정기간행물명 및 호수, 출판지: 간행단체명, 간행연도, 쪽수의 순서로 적는다.

              단, 국내에서 발행된 서적의 경우에는 출판지를 생략할 수 있다.

    예) 홍길동, 『 서얼연구』, 서울: 홍길동출판사, 2001, 100~101쪽.
    홍길동, 「홍길동 연구」, 『 서얼연구』 1, 서울: 서얼학회, 2001, 100~101쪽.

         ④ 인용서적이 편서일 경우에는 편자의 이름 뒤에 ‘편(編)’ 또는 ‘ed.’를 기입한다.

    예) 홍길동 편, 󰡔홍길동연구󰡕, 서울: 홍길동출판사, 1992, 12쪽.
    홍길동, 「홍길동의 생애」, 허균 편, 󰡔홍길동󰡕, 서울: 홍길동출판사, 1996, 12쪽.

         ⑤ 번역서의 경우에는 다음 형식을 따른다.

    예) 로버트 단턴 지음, 조한욱 옮김, 󰡔고양이 대학살󰡕, 문학과 지성사, 1996, 100쪽.

         ⑥ 동일 저자의 책이나 논문이 두 번 이상 인용될 경우

    예1) 같은 논문이나 책이 반복될 때 : 홍길동, 앞의 글(or 앞의 책), 2001, 100쪽.

    예2) 연속된 각주 번호로 인용될 때 : 홍길동, 위의 글(or 위의 책), 2001, 100쪽.

         ⑦ 사료(자료) 인용 1 : 󰡔『三國史記』,『高麗史』,『朝鮮王朝實錄』등 흔히 인용되는 사료

     예1) 『高麗史』卷76, 志3, 百官1 贊成事(서울문화사 영인본 상책 107쪽 가, 이후 상-107-가로 표시).

           “(忠烈王) 二十四年 忠宣以宰執員冗 論議異同 事多稽滯 仍罷之”

     예2) 『世宗實錄』卷9, 世宗 6년 5월 庚子(국사편찬위원회 영인본 12책 409쪽 가, 이하 12-409-가로 표시).

          “學而時習之  不亦悅乎”

         ⑧ 사료(자료) 인용 2 : 소장처를 표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 李昆洙, 󰡔壽齋遺稿󰡕, 「書啓」 (소장처, 도서번호)

         ⑨ 기타

 

  5. 표·그림

   <표 1> 1900년 미곡 생산액 (단위: 석)

 

   
   

 

 출전: 농수산부, 『한국농업사』, 한국출판사, 2000, 100쪽.

 비고: (필요할 경우, 표에 대한 註記)

 

  6. 참고문헌

  1) 논문 작성에 참고한 문헌을 표시한다.

  2) 서지사항 표시 방법은 각주 작성 방법과 같게 한다.

 

  7. 영문 초록

  1) 왼쪽 상단에 <Abstract>를 표시한다.

  2) 漢字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 영문(漢字)의 형식으로 표기한다.

  3) 영문 필자소개

영문 이름은 Hong, Gil-Dong의 형식으로 표기하고, 다음의 형식으로 필자 소개를 한다.

Professor of 전공, Department of 학과명, 대학, 소재지.

예)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of Korean Linguistics and Literature,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 한자의 영문표기는 중국어의 경우는 漢語倂音의 표기에 따르고, 한국의 고유명사나 특수용어는 한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한다.

  5) 영문 초록 가운데 人名과 王名은 처음 한 번은 반드시 生卒·在位 연대를 표기한다.

  6) 동양 古典 등은 『』로, 篇名은 「 」을 사용하고, 글자체는 반드시 이탤릭(Italic)체로 표기한다.

  7) 5~6개의 영문 핵심어를 게재한다.

  8) 영문 초록의 분량은 영단어 200단어 내외로 한다.

 

 

8. 그 밖의 사항은 원칙적으로『東方學志』의 관례를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