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과정별 교과과정 및 이수학점
학위 |
개설학과 |
구분 |
과목명 |
학점 |
통합 (54)학점
전공필수 (18학점) + 전공선택 (36학점) |
참여학과 과목 |
전공필수 (12)학점 |
양자역학 1 (물리) |
3 |
양자역학 2 (물리) |
3 |
|||
전자기학 1 (물리) |
3 |
|||
전자기학 2 (물리) |
3 |
|||
무기화학특강 (화학) |
3 |
|||
전공선택 (18)학점 |
표면물리학 (물리) |
3 |
||
자성물리학 (물리) |
3 |
|||
고전역학 (물리) |
3 |
|||
통계역학 (물리) |
3 |
|||
고체분광학 (물리) |
3 |
|||
전위론 (신소재) |
3 |
|||
재료화학 (신소재) |
3 |
|||
정보표시재료특론 (신소재) |
3 |
|||
연성전자공학 (신소재) |
3 |
|||
고체의전자이론 (신소재) |
3 |
|||
나노재료특론 (신소재) |
3 |
|||
유전및압전재료 (신소재) |
3 |
|||
광전재료및응용 (신소재) |
3 |
|||
고체구조론 (신소재) |
3 |
|||
메모리소자및공정 (신소재) |
3 |
|||
반도체물리 (신소재) |
3 |
|||
소자및공정설계 (신소재) |
3 |
|||
유기전자재료 (신소재) |
3 |
|||
자성재료특론 (신소재) |
3 |
|||
재료열역학특론 (신소재) |
3 |
|||
소재계면공학 (신소재) |
3 |
|||
재료확산론 (신소재) |
3 |
|||
재료의광전특성 (신소재) |
3 |
|||
표면특성론 (신소재) |
3 |
|||
전산재료과학개론 (신소재) |
3 |
|||
2차원나노물질특론 (신소재) |
3 |
|||
계면및접합공학 (신소재) |
3 |
|||
강자성체특론 (신소재) |
3 |
|||
투명전자소재 (신소재) |
3 |
|||
반도체실험계획법 (신소재) |
3 |
|||
고등물리화학 (화학) |
3 |
|||
에너지재료이론설계1-3 (화학) |
1+1+1 |
|||
에너지생성및저장1-3 (화학) |
1+1+1 |
|||
물리학 세미나 1~4 (물리) |
3 |
|||
신소재공학 세미나 1~4 (신소재) |
3 |
|||
화학 세미나 1~4 (화학) |
3 |
|||
협동과정 개설과목 |
전공필수 (6)학점 |
고체물리학1 (물리) |
3 |
|
고체물리학2 (물리) |
3 |
|||
전공선택 (18)학점 |
고급반도체물리학 |
3 |
||
반도체 소자의 물리적 이해 (물리) |
3 |
|||
소자공정 및 측정물리학 (물리) |
3 |
|||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자 응용 (물리) |
3 |
|||
박막 및 물성물리학 (물리) |
3 |
|||
반도체공정 (신소재) |
3 |
|||
반도체소자 (신소재) |
3 |
|||
스핀공학특론(신소재) |
3 |
|||
소재물리화학(화학) |
3 |
|||
레이저분광학 (화학) |
3 |
석박사 통합과정을 위한 규정
① 학위 취득에 필요한 최소 학점 수는 석박사 통합과정 54학점이다.
② 졸업 이수 학점 전공 필수(선택) 18(36)학점 안에서 학생이 본인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자유롭게 선택하여 수강 할 수 있다 (위의 표 참고).
③ 한 학기 최대 12학점 까지 이수 가능하고 6학점 이상 수강해야한다.
④ 세미나(물리,화학,신소재) 과목은 학위 과정 내에 4회를 초과하여 수강할 수 없고, 동일 학정 번호의 세미나를 수강할 수 없다.
⑤ 본 협동과정에서 학위기간 중 개설되지 않은 과목에 한하여, 연세대학교와 협정을 맺고 있는 대학원 해당 과목의 교환학점을 인정할 수 있으며, 관련학문인 물리학, 화학, 전기전자공학, 신소재공학 대학원의 개설과목을 수강하는 경우, 매학기 수강 신청 전에 대학원주임교수의 승인을 받은 후 선택과목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학점 인증 승인 요청서를 학과 사무실에 비치한다.
박사 과정을 위한 규정
① 석사 학위를 소지한 학생의 경우 박사 과정으로 입학이 가능하다.
② 박사과정 학위 취득에 필요한 최소 학점은 30 학점이다.
- 국내 또는 국외 타 대학원에 취득한 학점 인정은 본 대학원 수료에 필요한 학점의 1/2을 초과할 수 없으며, 동급의 학위과정 (박사-박사)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 필수 및 선택 과목 구별 없이 아래 이수 교과목 예시를 참고하여 본인 연구와 연관성이 높은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이수할 수 있다.
③ 한 학기 최대 12학점 까지 이수 가능하고 6학점 이상 수강해야한다.
④ 세미나(물리, 화학, 신소재) 과목은 학위 과정 내에 2회를 초과하여 수강할 수 없고, 동일 학정 번호의 세미나를 수강할 수 없다.
⑤ 본 협동과정에서 학위기간 중 개설되지 않은 과목에 한하여, 연세대학교와 협정을 맺고 있는 대학원 해당 과목의 교환학점을 인정할 수 있으며,
관련학문인 물리학, 화학, 전기전자공학, 신소재공학 대학원의 개설과목을 수강하는 경우, 매학기 수강 신청 전에 대학원주임교수의 승인을 받은 후
선택과목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학점 인증 승인 요청서를 학과 사무실에 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