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제목
김명준(생화학 석박통합 15) 박사 졸업생, 대학원 혁신 최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일
2022.12.30
작성자
생명시스템대학
게시글 내용

김명준(생화학 석박통합 15) 박사 졸업생의 학위 논문이 2022-2학기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상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되었다.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다양한 질병 모델에서 조절 T 세포의 안정성 유지에 대한 PD-1의 역할에 관한 연구(Studies on the Role of PD-1 in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Regulatory T Cell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이다. 김명준 박사는 이 논문을 통해 암 생물학 및 면역학 분야를 종합하여 종양 면역 미세환경 내 조절 T세포에서 발현되는 PD-1 분자의 면역학적 역할을 규명하였다.


해당 연구는 김명준 박사를 제1저자로 하고, 생화학과 하상준 교수와 생명공학과 이인석 교수가 교신 저자로, 그리고 김경수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하여 면역학 분야의 최고 권위지인 『Nature Immunology』(IF 31.003) 온라인에 지난 12월 28일 게재되었다.


이번 논문은 PD-1 항암 요법이 조절 T세포를 통해서도 효과가 나타남을 학문적으로 입증하였고, 더 나아가 암 환자별 PD-1 항암 요법의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실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PD-1 항암 요법의 반응성을 예측하여 해당 환자의 항암 면역 요법의 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성과가 두드러진다.


“개인적으로 박사 학위를 안겨 준 뜻 깊은 논문이다. 또한 연구 활동이 혼자만의 힘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공동의 노력이 더 높은 수준의 결과를 이끌어 낸다는 깨달음을 준 논문”이라며 김 박사는 논문의 의미를 되짚었다. 이어 “이번 수상과 연구 결실은 하상준 교수님의 올바른 연구 지도 덕분이다. 하상준 교수님을 비롯하여 공동 연구로 좋은 성과를 이끌어 주신 생명공학과 이인석 교수님과 한양대학교 최제민 교수님, 그리고 주변의 많은 연구자에게 감사드리고, 묵묵히 응원과 지원을 보낸 가족에게 감사드리고 사랑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고 했다.


김명준 박사는 “여러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목표처럼 저 역시 질병으로 인해 고통받는 환자들의 회복과 더 나아가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연구를 앞으로도 계속 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논문 주요 내용

조절 T 세포는 효과적인 면역반응을 억제하여 면역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절 T 세포는 종양 미세환경으로 이동하여 효과적인 항암 면역반응을 억제하여 종양 성장을 유도한다. PD-1 단백질은 T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면역관문수용체로 세포독성림프구의 기능을 억제하여 종양 성장을 유도한다. 이러한 PD-1 단백질은 세포독성림프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면역세포에서 발현하고 각 세포별 PD-1 단백질의 기능은 상이하다. 특히, 조절 T세포에 발현된 PD-1의 역할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다른 T 림프구보다 조절 T 세포에서 PD-1 단백질의 발현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서 다른 T림프구보다 조절 T세포에서 발현된 PD-1 단백질의 기능을 밝혀내는 것은 PD-1 항암 요법의 기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이번 연구에서 조절 T세포 특이적 PD-1유전자 결핍 생쥐 모델과 단일 세포 기반RNA 및T세포 수용체 염기서열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고, 종양미세환경내 조절T세포에 발현된 PD-1은 조절T세포의 안정성 및 지질 대사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실제로, 조절 T세포에서PD-1단백질을 발현하지 못하는 생쥐는 종양세포의 성장이 정상 생쥐보다 더 느렸고, 정상 생쥐보다 조절T세포의 안정성 및 억제성 기능이 감소했으며, 종양세포를 직접 제거하는T림프구의 활성도도 높았다. 더 나아가, 만성 감염 바이러스, 자가면역 질환에서도PD-1이 결핍된 조절 T세포는 안정성 및 억제성 기능이 감소되어있음을 확인했다.

 종합적으로,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질병 모델에서 PD-1 단백질은 조절 T세포의 안정성 및 억제성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