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20세기 초 한국어 학습서 아카이브 구축과 언어・문화의 사적 고찰

 

연구목적

 

  외국인을 위한 초기 한국어 학습서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초기 한국어 교육 체제와 내용을 총체적으로 연구하고, 한국어 교육의 역사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20세기 초기 한국의 언어・문화적 특성을 분석하고 규명한다. 또한, 이 아카이브를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 및 인문학 연구를 지원하는 언어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초기 한국어 학습서는 영인본이나 개인 연구자 소장 자료로만 존재하며, 충분히 디지털화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수집된 학습서를 전자 텍스트로 구축하고, 출판 연도, 저자, 내용, 언어적 특성, 사용된 어휘 및 문법 구조 등의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상세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쉽게 접근하고 검색할 수 있는 목록을 제공한다.

 

 

연구내용

 

  구축된 초기 한국어 학습서는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당시의 교재론적, 교수법적, 언어‧문화적 특성을 탐구하고 한국어 교육의 뿌리를 밝힌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변천사를 체계화하고, 독자적인 교수법을 집대성하여 한국어 교육 이론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세기 초 한국어 텍스트로서 학습서에 담긴 다양한 언어 변이를 분석하여, 근현대기 한국어의 양상을 관찰하고, 현대 국어 성립기의 언어적 특징을 규명할 수 있다. 특히, 학습서에 담긴 회화 표현 등은 당시 구어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아, 구어 자료가 부족한 당시 한국어의 구어적 특성을 고찰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기대효과

 

  언어, 사회, 문화적인 통찰과 통섭을 목표로 그 성과가 국가와 사회에 효과적으로 환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본 연구소가 지금까지 수행해 온 국내외 학술적, 인적 소통 자원을 기반으로 사회통합과 화합을 도모한다. 이와 함께 융합학문, 연구방법론, 학제 간 연구 활용의 체계적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후속연구로 이어가는 동시에 적극적인 학문 후속 세대 양성에 주력한다.

 

  ○ 기존 아카이브의 제한성 극복: 원문 수록 이미지와 조건 검색에 더하여 원문 수록 이미지와 해당 텍스트를 함께 구현한다. 그로써 이용자의 목적에 맞는 재가공 및 데이터 마이닝 분석 툴과의 용이한 호환을 도모하고 기존 아카이브의 제한성을 극복하는 한편 나날이 다양화, 전문화 되어가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새로운 가치 창출에 기여한다.

  ○ 근현대 사회・문화 자료의 세계화 토대 마련: 초기 한국어 학습서는 국내외에 걸쳐 그 목적과 대상에 따라 어휘, 문법, 회화서 등과 같은 구체적인 의도에 의하여 작성되었다. 이와 동시에 당시 한국의 사회・문화상이 교육 현장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으므로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질서 속에서 어떻게 교섭하며 근현대 사회로의 이행을 준비하였는지를 발견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유산이다. 한국어 학습서를 시작으로 이와 같은 사적 자료의 발굴과 구축을 계속하며 확장성 높은 국제통용 규격으로 구축, 제공함으로써 근현대 사회・문화 자료 세계화의 토대를 마련하고 국가적 위상을 제고해 간다.

  ○ 세대・지역 간 이해와 통합의 기반 제공: 본 연구는 초기 한국어교재, 특히 해방 이전의 자료를 발굴하고 자료화하고 그 속에서 의미 있고 중요하게 포착되는 표현들과 그 맥락을 고찰함으로써 자료에 기반하여 세대와 지역 간 이해를 고취하고 통합의 기반을 제공하는 데 일조한다.

  ○ 이론과 실용의 담론 제공: 본 웹 기반 디지털 아카이브는 이미지 및 원문 데이터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단어, 문장 단위 용례 검색과 형태소 단위 검색 및 통계 분석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자료의 특성상 한글 및 일본어 등 옛 표기가 존재하는 언어에 대해서는 현대 표기를 함께 이용한 상세 검색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아날로그 자료의 처리 기술과 학제 간 융복합 및 실용적인 인문학 담론을 제공할 것이다.

  ○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의 국제적 지평 확장: 국내외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다양한 수요와 목적에 부합하는 한국어 학습서 개발 및 지속 가능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영향력을 확장한다. 이를 통하여 보편성과 특수성이 공존하고 있는 초창기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의 다양한 양상과 쟁점에 대한 재발견을 견인하고 한국어 연구와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에 앞장서 구축한 데이터를 국제적으로 확산한다.

  ○ 언어와 문화의 상호작용 연구: 한국어 학습서 자료 발굴과 구축을 통하여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의 과거를 관찰하고 이에 드러나는 전환기와 확립기 언어, 사회, 문화 교섭의 제상을 입체적으로 포착함으로써 초창기 국내외 간행 학습서에 대한 관심 함양과 언어를 통한 근현대 문화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구명하는 후속 연구로 발전시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