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과정
-
학년
학기
과목종별
학정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실습)
1
1
교기
YCA1101
채플(1)
0.5
1(0)
교기
YCB1101
글쓰기
3
4(0)
대교
대학교양
3
RE
Yonsei RC101
1
전기
ANT1001
문화인류학*
3
3(0)
전기
ANT2105
지구촌시대의문화인류학*
3
3(0)
전기
ANT2106
세계화와다문화주의*
3
3(0)
2
교기
YCA1102
채플(2)
0.5
1(0)
교기
기독교의이해
3
3(0)
대교
대학교양
3
RE
사회참여 SE
1
2
1
교기
YCA1103
채플(3)
0
1(0)
대교
대학교양
0
0(0)
전필
ANT2101
문화기술지
3
3(0)
전선
ANT2102
한국문화낯설게보기
3
3(0)
2
교기
YCA1104
채플(4)
0
1(0)
대교
대학교양
전선
ANT2103
가족과문화
3
3(0)
전선
ANT2104
글로벌라이제이션과이주
3
3(0)
전선
ANT2108
교육과문화
3
3(0)
전선
ANT2109
의료인류학
3
3(0)
전선
ANT2110
도시와문화
3
3(0)
3
1
전선
ANT3101
문화인류학의역사
3
3(0)
전선
ANT3104
성과문화
3
3(0)
전선
ANT3106
민족과종족
3
3(0)
전선
ANT3107
현대사회와정체성
3
3(0)
전선
ANT3109
종교와문화
3
3(0)
전선
ANT3110
환경과문화
3
3(0)
전선
ANT3112
대중문화와문화산업
3
3(0)
전선
ANT3115
인류학특강
3
3(0)
전선
ANT3123
영상인류학(2)
3
3(0)
전선
ANT3202
문화와관광
3
3(0)
2
전필
ANT3102
현지조사방법론
3
3(0)
전선
ANT3103
현지조사실습(1)
3
3(0)
전선
ANT3105
몸의인류학
3
3(0)
전선
ANT3108
동아시아지역연구
3
3(0)
전선
ANT3111
역사인류학
3
3(0)
전선
ANT3113
영상인류학(1)
3
3(0)
전선
ANT3114
네트워크사회의문화기획
3
3(0)
전선
ANT3116
생태인류학
3
3(0)
전선
ANT3205
정치인류학
3
3(0)
전선
ANT3206
빈곤의인류학
3
3(0)
전선
ANT3207
과학기술의인류학
3
3(0)
3,4
1
전선
ANT3203
일본문화연구
3
3(0)
전선
ANT3209
법인류학
3
3(0)
전선
ANT3210
상징과의례
3
3(0)
전선
ANT3204
현대중국의사회와문화
3
3(0)
전선
ANT3208
동남아시아사회와문화
3
3(0)
2
전선
ANT3211
표상문화론
3
3(0)
4
1
전선
ANT4101
현지조사실습(2)
3
3(0)
전선
ANT4103
경제인류학
3
3(0)
전선
ANT4104
문화기술지강독
3
3(0)
전선
ANT4105
현대사회의돌봄과친밀성의구조
3
3(0)
전선
ANT4107
글로벌이슈와인류학적전망
3
3(0)
2
전선
ANT4102
지역연구
3
3(0)
전선
ANT4106
문화기획실습(인턴십)
3
3(0)
전선
ANT4108
문화갈등과글로벌가바넌스
3
3(0)
전선
ANT4109
문화비평적글쓰기
3
3(0)
전선
ANT4201
졸업논문
3
3(0)
전선
ANT4202
현대문화인류학이론
3
3(0)
<문화인류학>과목은 대학교양 ‘인간과역사’ 영역에, <지구촌시대의문화인류학>과 <세계화와다문화주의>는 대학교양 ‘지역사회와세계’ 영역에 교차인정함
전공기초
학정번호 |
교과목명 |
내용 |
---|---|---|
ANT1001 |
문화인류학 (Cultural Anthropology) |
문화인류학이 다루는 분야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문화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문화인류학의 관점을 여러 사례를 통해 소개한다. |
ANT2105 |
지구촌시대의 문화인류학 (Cultural Anthropology in a Global Era) |
세계화 현상을 이해하고 문화인류학의 다양한 분석틀과 개념을 통해 다양한 탈경계적인 문화현상을 분석한다. |
ANT2106 |
세계화와 다문화주의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
다문화주의가 등장하게 된 글로벌 맥락을 살펴보고 지역과 국가와 세계를 아우르는 다차원적인 시각에서 사회의 변화를 살펴본다. |

전공필수
학정번호 |
교과목명 |
내용 |
---|---|---|
ANT2101 |
문화기술지 (Ethnography) |
본 수업은 현지 조사의 기초적인 방법론부터 문화기술지 작성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소개한다. |
ANT3102 |
현지조사 방법론 (Fieldwork Methodology) |
현지조사는 인류학의 가장 중요한 연구 방법론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현지조사의 준비와 수행의 전 과정에서 필요한 인식론, 방법들, 윤리들을 배운다. |

전공선택
학정번호 |
교과목명 |
내용 |
---|---|---|
ANT2102 |
한국 문화 낯설게 보기 (The Defamiliarization of Korean Culture) |
인류학은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보고, 낯선 것을 친근하게 바라봄으로써’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을 얻게 한다. 본 수업은 인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한국 문화를 상대화, 객관화시켜 분석하는 능력을 갖게 한다. |
ANT2103 |
가족과 문화 (Family and Culture) |
인류가 보편적으로 만들어 낸 제도인 ‘가족’을 역사적, 통시적으로 검토하면서 현대 가족 문제의 대안을 모색한다. |
ANT2104 |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이주 (Globalization and Migration) |
경제적 이주, 난민, 유학을 통한 사람들의 전지구적인 이동 양상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한국 사회의 변화를 분석한다. |
ANT2108 |
교육과 문화 (Education on and Culture) |
한국 및 다른 나라의 교육문화 및 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현상들과 담론들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하고 토론하며 교육에 대해 고찰한다. |
ANT2109 |
의료인류학 (Introduction to Medical Anthropology) |
본 수업은 의료인류학의 이론과 방법론을 습득하고,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건강과 질병, 몸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ANT2110 |
도시와 문화 (City and Culture) |
현대 도시 공간에서 발생하는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한다. 유동하는 공간으로서 도시의 장소성을 밝히고, 그곳과 관련된 규칙, 규범, 정체성을 파악한다. |
ANT3101 |
문화 인류학의 역사 (History of Cultural Anthropology) |
19세기 중엽 인류학이란 학문이 등장한 이후 현재까지 인류학은 문화를 이해하는 다양한 이론과 관점을 제공해왔다. 문화인류학자들의 경험과 저술을 통해 인류학의 역사를 추적해본다. |
ANT3103 |
현지조사 실습 (1) (Fieldwork Practice) |
현지조사 방법론을 배운 후 특정한 연구 주제를 선택하여 개별 또는 공동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문화기술지를 작성한다. |
ANT3104 |
성과 문화 (Gender and Culture) |
본 수업은 젠더(gender)와 섹슈얼리티(sexuality)의 이슈에 집중하여 여성과 남성이 어떠한 범주로 구성되는지에 대한 ‘문화적 분석’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ANT3105 |
몸의 인류학 (Anthropology of Body) |
몸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맥락에 의해 그 의미가 만들어진다. 본 수업은 몸의 사회, 문화적 구성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을 다루고, 몸의 실천에 있어서 젠더, 섹슈얼리티, 종족, 민족, 계급적 차이의 영향과 의료 산업의 영향력 등을 고찰한다. |
ANT3106 |
민족과 종족 (Nationality and Ethnicity) |
본 수업은 종족과 민족 등에 의해 어떻게 차이와 동일성이 생산되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현대의 인종주의와 민족주의가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
ANT3107 |
현대사회와 정체성 (Identiti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
현대 사회의 다양한 정체성들이 출현하는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고 정체성의 문화적 표현 방식을 분석한다. |
ANT3108 |
동아시아 지역연구 (East Asian Studies) |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이 경험하고 있는 급격한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변화를 동아시아라는 총체적인 맥락과 지역민의 관점이라는 인류학적 시각으로 분석한다. |
ANT3109 |
종교와 문화 (Religion and Culture) |
종교는 인류가 상징체계를 통해 자신의 삶을 이해해온 문화적 방식이다. 각 사회의 종교관과 다양한 의례를 통해 과거부터 현대까지 종교와 문화의 관계를 이해한다. |
ANT3110 |
환경과 문화 (Environment and Culture) |
지구상에서 오만 년을 살아온 인류가 멸종의 위기에 처해있다고 한다. 현대 문명의 진화를 미시적, 거시적으로 살펴보면서 현 상황의 심각성을 알아보고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한 구체적 대안을 구상하고 실천해본다. |
ANT3111 |
역사 인류학 (Historical Anthropology) |
본 수업은 특정 사회의 문화적 변화를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문화 변동과 개인 삶과의 연관성을 추적하는 인류학적 방법론을 제공한다. 구술사와 기억, 행위자성의 개념을 파악한다. |
ANT3112 |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Popular Culture and the Cultural Industry) |
본 수업은 향후 문화산업 분야로 진출하는 것을 계획하는 학생들에게 대중문화 이론을 소개하고 문화산업에서의 커리어에 대한 구체적인 전망을 갖게 한다. |
ANT3113 |
영상 인류학 (Anthropology and the Visual Media) |
인류학은 영화, 비디오, 사진, 디지털 기록 등의 영상을 문화 분석의 매체로 사용해왔다. 본 수업을 통해 문화 기술의 개념과 방법론을 이해한다. |
ANT3114 |
네트워크 사회의 문화 기획 (Cultural Design in the Network Age) |
본 수업에서는 정보사회, 지식기반사회라고 불리는 시대가 기존의 통합적이고 위계적인 조직사회와는 어떻게 다른지, 특히 네트워크 문화, 그리고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로 조직되는 사회의 성격을 살펴보고 네트워크 사회의 문화기획을 실제로 수행해본다. |
ANT3115 |
인류학 특강 (Special Topics in Anthropology) |
인류학 분야의 최근 연구 주제와 관심사를 소개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
ANT3116 |
생태인류학 (Ecological Anthropology) |
생태적 사유에 대해 이해하고 생태학과 인류학의 결합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ANT3202 |
문화와 관광 (Culture and Tourism) |
관광인류학적 관점을 통해 관광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과 주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
ANT3203 |
일본문화연구 (Japanese Culture Studies) |
일본문화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에서 벗어나 정치-경제-문화-역사의 계보를 탐색하며 현대 일본을 케이스로 하여 문화연구의 다양한 방법론을 이해한다. |
ANT3204 |
현대 중국의 사회와 문화 (Understanding Modern China) |
현대 중국의 사회문화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ANT3205 |
정치인류학 (Political Anthropology) |
국가의 제도와 행위, 담론을 아우르는 접근을 통해 정치와 문화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ANT3206 |
빈곤의 인류학 (Anthropology of Poverty) |
빈곤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을 통해 지역사회 및 국제사회가 직면한 빈곤 문제에 대해 이해하고 비판한다. |
ANT3207 |
과학기술의 인류학 (Anthrop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의 인류학은 우리가 세계를 인식하고 경험하는 방식과 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다. 본 수업에서는 인간/비인간, 문화/자연, 정신/물질 등에 대한 익숙한 가정들이 과학기술의 장 안에서 어떻게 작동되고 변형되며 도전받고 있는지를 인류학적으로 탐색한다. |
ANT3208 |
동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Society and Culture of Southeast Asia) |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동남아시아의 다양한 생활양식과 문화적 가치에 대해 이해하고, 한국 사회와 동남아 사회 간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탐색하는 기회를 가진다. |
ANT3209 |
법 인류학 (Anthropology of Law) |
법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을 통해 법문화, 법생활 등을 비교 연구한다. |
ANT3210 |
상징과 의례 (Symbols and Rituals) |
문화에 따른 상징과 의례에 대해 알아본다. |
ANT4101 |
현지조사 실습 (2) (Fieldwork Practice 2) |
현지조사 방법론을 배운 후 특정한 연구 주제를 선택하여 개별 또는 공동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영상과 디지털 자료의 형식으로 문화기술지를 완성한다. |
ANT4102 |
지역연구 (Regional Studies) |
특정 지역이 경험하고 있는 급격한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변화를 세계화라는 총체적인 맥락과 지역민의 관점이라는 인류학적 시각으로 분석한다. |
ANT4103 |
경제인류학 (Economic Anthropology) |
한국 사회를 경제인류학적인 관점에서 다시 살펴보고, 새로운 경제 혹은 전환의 경제가 가능할 수 있는 사회적 모색에 대해서 이론적 정립을 시도하고, 지역경제 속에서의 인류학적 대안을 제시한다. |
ANT4104 |
문화기술지 강독 (Reading Ethnography) |
인류학자들이 만들어낸 주요 문화기술지를 이론적이고 성찰적인 방식으로 독해하면서, 문화인류학적 지식 생산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ANT4105 |
현대 사회의 돌봄과 친밀성의 구조 (Structure of Care and Intimac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
국민국가 중심의 산업사회는 물적 생산성과 전 국민의 단합이 과제였다면 후기산업사회는 비물질적 생산과 '친밀성'이 주요 주제가 되는 사회이다. 동기상의 위기와 친밀성의 문제가 중심으로 떠오르는 후기근대적 위험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들을 찾아본다. |
ANT4106 |
문화 기획 실습 (인턴십) (Cultrual Design Practice) (Internship) |
창조성 산업, 문화 산업, 대안 기업 영역의 회사나 공공기관, 학교, NGO 등 현장에서 인턴십을 하며 참여관찰과 함께 인터뷰 조사, 실질 기획, 코디, 업무 진행의 능력을 함양한다. |
ANT4107 |
글로벌 이슈와 인류학적 전망 (Global Issues i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
점증하는 글로벌 시대에 중요한 이슈들, 예를 들어 민족 분쟁, 정체성 혼란, 이주와 시민권, 종교 분쟁, 의료와 법, 발전 문제 등 글로벌라이제이션과 관련된 이슈들을 인류학적 시각에서 탐구한다. |
ANT4108 |
문화 갈등과 글로벌 가버넌스 (Culture Conflicts and Global Governance) |
글로벌 시대에 새롭게 부상하는 다양한 문화갈등과 중재에 대한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인권, 지속가능한 발전, 문화 간 이해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ANT4109 |
문화비평적 글쓰기 (Writing as a Cultural Critique) |
후기 구조주의의 비판이론,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해체주의 등 문화연구의 주요 이론들을 바탕으로 성찰적인 문화 비평적 글쓰기 훈련을 한다. |
ANT4201 |
졸업논문 (Thesis Writing) |
본 수업은 학생들에게 연구계획서 쓰기부터 연구 방법론, 논문 완성의 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
ANT4202 |
현대문화인류학이론 (Contemporary Theories in Cultural Anthropology) |
현대 사회/문화 이론의 주요 쟁점들을 핵심 텍스트 독해를 통해 파악하고, 동시대 사회/문화 현상의 계보학적 분석 방법을 습득한다. |
ANT3211 |
표상문화론 (Representation and Culture) |
표상(representation)은 시각 이미지에서 대의제 민주주의에 이르기까지 근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다. 무언가를 대리하고(대표) 무언가를 보여주는(상연) 표상의 사회적 의미를 짚어 봄으로써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문화 비평적 시각을 기른다. |

학석사 연계과정
-
연세대 문화인류학과는 학석사 연계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바랍니다.
링크 : https://graduate.yonsei.ac.kr/graduate/admission/connect_schedule.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