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게시판

Board

제목
[학술행사] [토크 콘서트] 장기 코로나 시대, 아시아 도시의 경험과 과제
작성일
2021.10.21
작성자
지역학협동과정
게시글 내용


2021년 9월말 현재, 코로나 대유행은 전세계적으로 지속 반복되면서 2억 3천만 명 이상의 확진자와 500만 명에 가까운 생명을 앗아왔다. ‘장기 코로나 시대’의 특징을 여과없이 보여주고 있다. 불확정적인 코로나 위기가 장기화 되는 ‘장기 코로나 시대’를 맞아, 코로나의 경험을 되돌아보고 ‘포스트 코로나’, ‘위드 코로나’ 등 코로나에 대한 다양한 해법과 이해 방식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특히, 코로나의 충격과 코로나 이후 전환의 노력이 도시에서 삶의 방식과 긴밀한 연관관게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아시아 주요 대도시의 경험과 과제에 대해 주요 전문가들과 함께 토론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행사는 장기 코로나 시대를 맞아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주요한 질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나누어보고자 합니다. 첫째, 코로나는 과연 언제 종결될까, 또는 종결된다고 할 수 있을까? 백신 접종률 및 치료제 개발 등 보건의료 측면, 치명률과 지속성을 염두에 둔 ‘위드 코로나’ 등 다양한 각도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둘째, 코로나가 우리에게 던진 가장 중요한 과제는 무엇인가? 코로나가 던진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충격이 장기간 누적되면서 다양한 이슈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슈 중에는 중요하지만 많이 드러나지 못한 이슈들도 많습니다. 주요한 이슈들을 재발굴하고,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보고자 합니다. 셋째, 코로나 이후 우리의 삶과 도시는 어떻게 변화할지, 또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아직도 코로나의 대유행이 사라지지 않은 현재에 미래의 일을 예견하기란 결코 쉬운 일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 위기가 인류에게 던져준 위기만큼이나 그에 대한 교훈과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변화의 전망은 현재부터 꾸준히 논의될 필요가 있습니다.

아시아 도시를 중심으로 세계 여러 곳의 다양한 도시들의 경험 또한 함께 논의될 예정입니다. 주요 전문가뿐 아니라 참여 청중들과의 소통을 통해서 불확실성으로 가득찬 ‘장기 코로나 시대’에 걸맞는 좀 더 나은 이해와 전망을 만들어가는 기회로 삼고자 합니다.

 

□ 행사 개요 (계획): 토크 콘서트

– 제목: [토크 콘서트] 장기 코로나 시대, 아시아 도시의 경험과 과제

– 일시: 2021년 10월 27일(수) 15:00 ~ 17:00

– 장소: 온라인 중계 [Zoom으로만 진행]

※ ZOOM link: https://snu-ac-kr.zoom.us/j/85795928488

– 주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사업단

– 주최: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메가아시아사업단, 서울연구원

※ 행사와 관련된 문의는 다음 메일로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윤종석 (ama99@snu.ac.kr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 행사 구성

사회자고길곤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아시아지역정보센터장행정대학원 교수)

15:00 ~ 15:10 개회사

15:10 ~ 16:40 주요 전문가 Round 토론 [3 Round]

– 주요 전문가: 강성용(서울대), 박철현(국민대), 손정원(런던대), 손창우(서울연구원), 윤종석(서울대 아연), 구기연(서울대 아연), 허정원(서울대 아연) 등 8-10명 내외

1. 코로나는 과연 언제 종결될까, 또는 종결된다고 할 수 있을까?
2. 코로나가 우리에게 던진 가장 중요한 과제는 무엇인가?
3. 코로나 이후 우리의 삶과 도시는 어떻게 변화할지, 또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16:40 ~ 17:00 청중 질의 응답 및 토론

 

※ 주요 전문가는 코로나와 대도시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 중에서 섭외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