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번 |
과목 |
단위 |
학정번호 |
학점 |
교과목명 |
교과목개요 |
비고 |
---|---|---|---|---|---|---|---|
1 |
전기 |
2000 |
CHE2103 |
3 |
유기화학(1) |
화학과 참조 |
|
2 |
전선 |
2000 |
BCH2001 |
1 |
주니어세미나 |
생화학 및 관련 분야에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산업화에 성공한 사례를 탐색, 분석, 발표하여 동 분야의 산업화 감각을 고취한다. |
|
3 |
전필 |
3000 |
LSB3101 |
3 |
생화학(1) |
생명체를 이루는 주요물질들의 화학적 구조와 기능 및 효소반응의 특성에 관하여 강의한다. |
생명 시스템 공통 |
4 |
전필 |
3000 |
LSB3102 |
3 |
생화학(2) |
생체 내 물질대사와 그 조절에 관하여 강의한다. |
|
5 |
전필 |
3000 |
LSB3202 |
3 |
세포생물학(1) |
진핵 세포를 이루고 있는 organelle들의 미세구조, 생화학적 구성 및 세포에서의 역할을 설명한다. 또한, 세포에 필요한 물질의 수송, 외부의 자극에 의한 세포의 반응 및 세포내 신호 전달 체계 등 세포 생화학 분야 |
|
6 |
전필 |
3000 |
BCH3103 |
3 |
생체물리화학 |
생체분자들의 구조및 생화학적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배우며, 그 특성을 규명하는 생화학, 물리화학적인 실험법 및 이론들에 대한 기본 원리및 응용방법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
|
7 |
전필 |
4000 |
BCH4101 |
3 |
생화학과제실험1 |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실험 과제를 받아 독립적으로 실험을 수행한다. |
|
8 |
전필 |
4000 |
BCH4102 |
3 |
생화학과제실험2 |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실험 과제를 받아 독립적으로 실험을 수행한다. |
2013 학번 부터 전필로 변경 |
9 |
전필 |
3000 |
BCH3109 |
3 |
분자생물학 |
분자생물학의 기본원리인 유전정보가 전달되는 과정, 유전자 복제, 전사, 번역, RNA processing과 유전자 조절을 학습한다. |
|
10 |
전선 |
2000 |
LSB2202 |
1 |
진로탐색특강 |
생명과학에 관심이 있는 학부생의 미래 직업 선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생명과학과 관련된 전문지식인, 즉, 과학자, 변리사, 의사, CEO 등 유명인사를 초빙하여 학생들에게 전문가로서의 미래 동향, 자신들의 경험을 강의한다. |
생명 시스템 공통 |
11 |
전선 |
3000 |
BCH3102 |
3 |
생화학실험(1) |
단백질등의 생체 물질의 분리 정제 및 정량에 관한 실험을 수행한다. |
|
12 |
전선 |
3000 |
BCH3104 |
3 |
분자생리학 |
인간신체의 구조와 기능을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해부학 및 생리학을 강의한다. |
|
13 |
전선 |
3000 |
BCH3107 |
3 |
생화학실험(2) |
재조합 유전자 기법 및 단백질의 분리 정제등의 실험을 수행한다. |
|
14 |
전선 |
3000 |
BCH3108 |
3 |
단백질생화학 |
생체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분자의 화학적 구조와 기능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정립하고 반응론적 분석을 통해 효소의 생화학적 작용원리를 분자수준에서 이해한다. |
|
15 |
전선 |
3000 |
BCH3110 |
3 |
세포면역학 |
면역에 관한 기초개념, 항원과 항체의 종류, 구조적 특성 및 다양성, 여러 면역반응 에 있어서의 세포간 상호작용을 강의한다. |
|
16 |
전선 |
3000 |
BCH3112 |
3 |
실험생화학특론 |
성공적인 생화학자가 되기 위한 필요한 자질을 배양하기 위하여, 과학적 지식의 효율적인 습득과 발표방식, 그리고 실험 data의 통계학적 분석에 대하여 강의한다. |
|
17 |
전선 |
3000 |
BCH3113 |
3 |
발생생화학 |
생물체의 발생과정 및 그 조절 기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유전학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
|
18 |
전선 |
3000 |
BCH3115 |
3 |
세포생화학(2) |
세포의 형태, 구조 및 기능에 관하여 강의한다. |
|
19 |
전선 |
3000 |
BCH3116 |
3 |
분자바이러스학 |
바이러스의 분류, 입자구조, 게놈구조, 유전자 발현, 생활사, 숙주면역반응 등을 분자생물학적 측면을 강조하여 학습한다. 특히, 인간의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초점을 두어 강의한다. |
|
20 |
전선 |
3000 |
BCH3117 |
3 |
유전생화학 |
유전학의 기본원리 이외에 유전자의 구조 및 발현조절 메카니즘에 대한 생화학적 개념을 강의한다. |
|
21 |
전선 |
3000 |
BCH3122 |
3 |
병리생화학 |
면역시스템과 질병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기전을 공부함으로써 다양한 질병들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학습한다. |
|
22 |
전선 |
3000 |
CHE3110 |
3 |
유기화학(2) |
화학과 참조 |
|
23 |
전선 |
4000 |
BCH4103 |
3 |
생화학특론(1) |
현대 생화학의 주요 과제에 대한 강의를 한다. |
|
24 |
전선 |
4000 |
BCH4107 |
3 |
생화학창의실험 |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실험 과제를 받아 독립적으로 실험을 수행한다. |
|
25 |
전선 |
4000 |
BCH4109 |
3 |
생리생화학 |
인체 시스템 항상성 유지를 위한 각 기관의 상호관계 이해를 위한 기초 지식 및 개념에 대해 강의한다. |
|
26 |
전선 |
4000 |
BCH4110 |
3 |
후성유전체학 |
후성유전학적인 유전자 발현 조절의 작용 기전 및 최신 연구 기법 등에 대해 강의한다. |
|
27 |
전선 |
4000 |
BCH4111 |
3 |
암생물학 |
암의 발생/전이와 관련된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유전학적 접근 및 병인기전에 관해 강의한다. |
|
28 |
전선 |
4000 |
BCH4112 |
3 |
유전체학 |
새로이 개발되고 있는 많은 유전체 분석 기술에 대해 고찰하고, 다양한 생명체 사이 및 인종 간의 유전체의 차이들을 비교하여 생명체 진화와 관련된 유전체 설계의 근본 원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유전체 변이와 질병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을 확인하여 유전체를 이용한 새로운 진단 및 치료제 개발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