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Course

석사과정

전공과목

북한·동아시아전공

북한/동아시아전공 과목
학정번호 교과목명 과목설명

GPY6003

(정치계열 공통)

북한정치론(Seminar on North Korean Politics) 북한의 공산화과정과 정치체제 및 권력구조의 특성을 고찰하고 특히 1인지배의 권력구조와 대중조작의 대내외적 전술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또는 북한의 외교정책을 남·북한관계, 일본·미국과의 관계, 제3세계 국가들과의 관계, 중국·러시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 분석한다.

GPY6004

(정치계열 공통)

한반도통일론(Issues in Korean Reunification) 한반도 통일과 관련한 주요 쟁점들을 체계적으로 평가 분석한다. 남북한의 통일정책, 남북한의 정치경제구조, 남북한을 둘러싼 국제환경 등에 대해서 분석하며, 가능한 통일방안과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GPY6014

(정치계열 공통)

남북한관계론(Inter-Korean Relations) 이 강의는 1945년의 분단부터 현재까지의 남북한 관계를 다룬다. 남북한간의 관계를 시기별의 차이뿐만 아니라 한국과 북한의 대 상대방 정책을 공식적, 비공식적 면에서 분석한다. 또한 남북한 관계를 정치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군사적, 경제적, 사회적인 면에서도 양자간의 교류와 협력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다룬다.

GPY6015

(정치계열 공통)

북한의 군사안보정책(Military and Security Policy of North Korea) 북한의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와 재래식 무기체계에 대한 분석과 함께 안보정책 및 군사전략에 관한 체계적이고도 실질적 연구를 수행한다.
GPL6002 북한외교정책세미나(Seminar on North Korean Foreign Policy) 북한의 외교정책 목표와 대외정책 변천과정을 개관하고 이데올로기, 조직·관리체계,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한다. 그리고 대중·러·공산권, 제3세계, 대일본·미국 및 서방, 유엔과 국제기구에 대한 외교관계 남·북한 관계에서의 주요 쟁점을 연구한다.
GPL6004 북한사회문화론(Nor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북한사회를 혁명화, 노동계급화, 공산주의화시키기 위해 사회주의적 민족문화의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수립된 문화, 예술, 종교, 언론 등 북한의 문화정책을 고찰한다.
GPL6008 동아시아 정치경제(East Asian Political Economy) 본 강의는 동아시아의 정치경제적 발전을 자본주의적 발전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정치경제발전이론 및 동지역의 자본주의 역사에 관하여 연구하는 한편 한국,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 동아시아발전국가들에 관한 사례 그리고 동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지역경제통합에 관해서도 논의하게 될 것이다.
GPL6009 동북아정치론(Politics in Northeast Asia) 전후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 정치구조'를 냉전, 탈냉전, 냉전종결의 시기로 나누어 검토한다. 특히 '9.11사건' 이후 미국 주도의 신국제질서 하에서 한국, 북한, 중국, 일본의 위상을 다룬 후 '동북아 다자 안보협력체'의 구상, 한.중.일 FTA등 3국간 협력문제, 한.중.일간 영토분쟁과 역사논쟁 등 민족주의 문제를 분석한다.
GPL6010 동남아정치론(East-South Asian Politics) 싱가포르, 타일랜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아세안 국가들과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정치변동사와 현실 정치의 쟁점 및 이들 국가들간의 관계를 비교정치적 관점에서 강의한다.
GPL7005 남북한관계와 미디어(Inter-Korean Relation & the Media) 남북한 관계 및 통일문제에 대한 언론의 보도와 정책사이의 상관관계, 남북한 및 외교안보정책의 국내정치화과정에서 Media의 역할 등에 대해 강의한다.
GPL7007 일본과 동아시아(Japan and East Asia) 본 강의는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과거, 현재, 미래를 일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강의는 동아시아의 민족주의와 동아시아 경제통합 등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개관하고, 구체적으로 한일관계와 중일관계 등의 양자관계가 동아시아 지역공통체의 형성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GPL7009 중국정치와 외교(Chinese Politics and Foreign Policy) 현대 중국혁명의 역사적, 이념적 배경과 공산당 집권 이후의 국가 통치조직을 고찰한 다음 국내정치과정을 동태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80년대 이후의 중국적 사회주의와 4개 현대화 정책의 성과 및 문제점에 역점을 두어 고찰한다.
GPL7010 일본정치와 외교(Japanese Politics and Foreign Policy) 일본정치의 발전과정과 쟁점들을 연구한다. 근대화, 미군정 및 민주화과정을 강의하고, 정당. 의회, 정부. 재계 및 이익집단들의 역할과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한다. 일본의 국제적 역할에 관한 논쟁과 전망도 토론한다.
GPL7011 러시아정치와 외교(Russian Politics and Foreign Policy) 러시아 및 구 소련지역 국가들의 국내정치와 외교정책에 관해서 일반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특정쟁점을 선별하여 분석 평가한다. 특히 구 소련 붕괴이후의 체제전환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쟁점과 에에 따른 외교정책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GPL7021 환경·에너지문제와 동아시아(ENVIRONMENT AND ENERGY ISSUES IN EAST ASIA) 환경-에너지 문제는 왜 생기며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누가 환경-에너지 정책의 주요한 행위자인가? 정치 제도, 규제, 시장 메커니즘, 자발적 제도는 환경-에너지 문제에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대기-수질오염, 핵에너지 등 인류와 각 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뤄갈 수 있을까? 본 강의는 동아시아를 비롯한 각 지역의 국가, 지방정부, 시민사회단체의 환경-에너지 정책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GPL7022 동아시아 민족주의(National and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동아시아에서 민족주의가 어떻게 동아시아 국가들의 국내/국제정치를 규정하는 동시에 규정당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일본 교과서 문제, 남경 대학살, 위안부 문제등을 둘러싼 갈등에서 보여지듯, 동아시아 민족주의 담론은 역사문제를 분쟁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의 하나로 만들었다. 다른 지역에 비해 특징적으로 보이는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본 과목은 어떻게 역사와 정치의 상호작용을 통해 역사적 이슈들이 정치화 되어가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GPL7023 동아시아 민주주의론(Democracy in East Asia) 20세기 후반이후 민주주의는 한국을 위시하여 많은 동아시아 국가로 퍼져나갔다. 경제발전으로 중산층의 증가도 민주주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민주주의는 아직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절차적 민주주의가 실질적 민주주의를 보장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 과목은 대학원 학생들에게 민주주의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시각을 제공하고 동시에 동아시아 민주주의 실제 경로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GPL7024 동아시아 국제협력과 국제기구(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East Asia) 동아시아 국제협력과 국제기구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협력의 잠재성과 그를 가로막는 장애요인, 그리고 그런 장애요인의 극복 가능성에 대한 심도깊은 이해를 목표로 한다. 국제정치의 협력 이론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안보, 경제, 환경, 인권 등 주요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고, 각 분야에서 국제기구들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 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대안을 모색해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