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정 운영 및 학사 관리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은 대학원생들에게 다음과 같이 상승형 로드맵(Ascending Roadmap)을 제시한다. 각 로드맵에 설정된 학사 관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내에 게시되어 있는 학과 내규를 참고한다.
▣ 국어국문학과 교과목
종별 | 학정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종별 | 학정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
전공 |
KOR5001 |
국어통사론연구 |
3 |
전공 |
KOR8510 |
구비문학특수연구 |
3 |
전공 |
KOR5002 |
국어형태론연구 |
3 |
전공 |
KOR8511 |
근현대문학과사상 (정치, 국가 등) |
3 |
전공 |
KOR5003 |
고전문학연구방법론 |
3 |
전공 |
KOR8512 |
근현대문학과재현 (표상, 수사학, 서사론 등) |
3 |
전공 |
KOR5004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3 |
전공 |
KOR8513 |
근현대문학과제도 (풍속,도시,일상생활,매체 등) |
3 |
전공 |
KOR6001 |
현대국어음운론연구 |
3 |
전공 |
KOR8514 |
문헌설화특수연구 |
3 |
전공 |
KOR6002 |
국어문법론연구 |
3 |
전공 |
KOR8516 |
한국의종교의례와공동체 |
3 |
전공 |
KOR6007 |
대화분석연구 |
3 |
전공 |
KOR8519 |
조선후기한문학연구 |
3 |
전공 |
KOR6010 |
국어정책론 |
3 |
전공 |
KOR8522 |
한국한문학특수연구 |
3 |
전공 |
KOR6011 |
사회언어학연구 |
3 |
전공 |
KOR8523 |
한문학과젠더 |
3 |
전공 |
KOR6015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연구 |
3 |
전공 |
KOR8603 |
판소리연구 |
3 |
전공 |
KOR6016 |
이중언어연구 |
3 |
전공 |
KOR8607 |
시조 문학 특수 연구 |
3 |
전공 |
KOR6021 |
국어어휘사연구 |
3 |
전공 |
KOR8608 |
동아시아한문학비교연구 |
3 |
전공 |
KOR6024 |
중세국어연구 |
3 |
전공 |
KOR8610 |
세계문학으로서의한국문학1 |
3 |
전공 |
KOR6025 |
훈민정음연구 |
3 |
전공 |
KOR8612 |
한국고전문학번역연습 |
3 |
전공 |
KOR6027 |
국어음성학연구 |
3 |
전공 |
KOR8615 |
동시대세계문학읽기 |
3 |
전공 |
KOR6030 |
수사학 |
3 |
전공 |
KOR8616 |
한국문학번역워크숍2 |
3 |
전공 |
KOR6032 |
응용언어학연구 |
3 |
전공 |
KOR8617 |
한국현대문학번역론 |
3 |
전공 |
KOR6034 |
현대언어학연구 |
3 |
전공 |
KOR8701 |
개화기대중문화연구 |
3 |
전공 |
KOR6035 |
현대언어학이론연구 |
3 |
전공 |
KOR8703 |
대중가요의형성과전개 |
3 |
전공 |
KOR6036 |
국어정보학연구 |
3 |
전공 |
KOR8801 |
근대시각문화론 |
3 |
전공 |
KOR6037 |
전산국어학연구 |
3 |
전공 |
KOR8802 |
한국영화장르 |
3 |
전공 |
KOR6038 |
전통문법연구 |
3 |
전공 |
KOR8803 |
영화와검열 |
3 |
전공 |
KOR6039 |
국어문법론연습 |
3 |
전공 |
KOR8804 |
냉전모더니즘과한국영화 |
3 |
전공 |
KOR6040 |
전통문법강독 |
3 |
전공 |
KOR8806 |
영화비평론 |
3 |
전공 |
KOR6041 |
국어음운론연구 |
3 |
전공 |
KOR8808 |
해외한국영화연구동향 |
3 |
전공 |
KOR6042 |
중세한국어자료연구 |
3 |
전공 |
KOR8809 |
아시아영화이론 |
3 |
전공 |
KOR6045 |
모바일학습으로의이동:게이밍과디지털기술을통한한국어및한국문화교육 |
3 |
전공 |
KOR8811 |
현대문학문화연구동향 |
3 |
전공 |
KOR6046 |
디지털스토리텔링적용: 이피에스토픽을다양한웹툰과게임화로가르치는콘텐츠개발 |
3 |
전공 |
KOR8812 |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LITERARY CRITICISM AND THEORY |
3 |
전공 |
KOR6047 |
문학콘텐츠전시의이론과실제 |
3 |
전공 |
KOR8813 |
영화, 문화, 젠더 |
3 |
전공 |
KOR6048 |
디지털리터러시의이론적탐색 |
3 |
전공 |
KOR8814 |
동아시아문학비교연구 |
3 |
전공 |
KOR6101 |
통사론특수연구 |
3 |
전공 |
KOR8815 |
르포르타쥬와다큐멘터리 |
3 |
전공 |
KOR6102 |
국어구어문법연구 |
3 |
전공 |
KOR8816 |
문학문화아카이빙 |
3 |
전공 |
KOR6201 |
한국어발음교육론 |
3 |
전공 |
KOR8817 |
문학이론과용어2 |
3 |
전공 |
KOR6202 |
한국어어휘교육론 |
3 |
전공 |
KOR8818 |
한국 현대소설과 젠더 |
3 |
전공 |
KOR6203 |
한국어문법교육론 |
3 |
전공 |
KOR8819 |
남성성연구 |
3 |
전공 |
KOR6204 |
한국어담화교육론 |
3 |
전공 |
KOR8820 |
문학과역사 |
3 |
전공 |
KOR6205 |
한국어표현교육론 |
3 |
전공 |
KOR8821 |
고전문학데이터베이스와 아카이빙 |
3 |
전공 |
KOR6206 |
한국어교육정책론 |
3 |
전공 |
KOR8824 |
이민의역사와문학 |
3 |
전공 |
KOR6207 |
한국어교수법 |
3 |
전공 |
KOR8906 |
한국문화의국제화연구 |
3 |
전공 |
KOR6208 |
한국어교육과정론 |
3 |
전공 |
KOR9101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
3 |
전공 |
KOR6209 |
한국어평가론 |
3 |
전공 |
KOR9102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특강 |
3 |
전공 |
KOR6210 |
한국어문화교육론 |
3 |
전공 |
KOR9103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정보교육론 |
3 |
전공 |
KOR6211 |
한국어교육실습 |
3 |
전공 |
KOR9104 |
대조언어학연구 |
3 |
전공 |
KOR6212 |
한국문화론 |
3 |
전공 |
KOR9105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 |
3 |
전공 |
KOR6213 |
근대국어연구 |
3 |
전공 |
KOR9106 |
외국문학으로서의한국현대문학 |
3 |
전공 |
KOR6220 |
번역문학론 |
3 |
전공 |
KOR9108 |
한국현대소설강독(1) |
3 |
전공 |
KOR6233 |
한국현대시와한국사회 |
3 |
전공 |
KOR9110 |
한국현대시강독 |
3 |
전공 |
KOR6303 |
외국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1 |
3 |
전공 |
KOR9110 |
한국현대시강독 |
3 |
전공 |
KOR6306 |
한국현대문학사연구 |
3 |
전공 |
KOR9111 |
한국현대문화분석 |
3 |
전공 |
KOR6308 |
현대시연구 II |
3 |
전공 |
KOR9113 |
한국현대소설강독(2) |
3 |
전공 |
KOR6312 |
현대소설연구 II |
3 |
전공 |
KOR9115 |
한국근대소설강독 |
3 |
전공 |
KOR6314 |
수사론 연구 |
3 |
전공 |
KOR9118 |
한국현대시강독2 |
3 |
전공 |
KOR6316 |
현대시이론연구 II |
3 |
청강 |
KOR9999 |
연구지도2 |
0 |
전공 |
KOR6318 |
현대소설이론 연구 2 |
3 |
전공 |
KOR5004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3 |
전공 |
KOR6320 |
현대시인연구 II |
3 |
전공 |
KOR5006 |
언어심리학연구 |
3 |
전공 |
KOR6322 |
현대작가연구 II |
3 |
전공 |
KOR6003 |
현대통사이론연구 |
3 |
전공 |
KOR6325 |
현대비평사연구 I |
3 |
전공 |
KOR6005 |
1960년대한국문학연구 |
3 |
전공 |
KOR6326 |
TELL ME YOUR STORY: NARRATIVE MEDICINE |
3 |
전공 |
KOR6006 |
고시가특수연구 |
3 |
전공 |
KOR6327 |
현대서사이론 연구 |
3 |
전공 |
KOR6008 |
화용론연구 |
3 |
전공 |
KOR6328 |
한국현대시론연구 |
3 |
전공 |
KOR6009 |
국어방언연구 |
3 |
전공 |
KOR6335 |
디지털문학예술론 |
3 |
전공 |
KOR6010 |
국어정책론 |
3 |
전공 |
KOR6602 |
한국 한문학 연구 |
3 |
전공 |
KOR6012 |
리터러시실천으로서의 디지털게이밍 |
3 |
전공 |
KOR6603 |
한국가요연구 |
3 |
전공 |
KOR6013 |
고전소설강독 |
3 |
전공 |
KOR6604 |
1910년대한국문학연구 |
3 |
전공 |
KOR6014 |
언어습득론 연구 |
3 |
전공 |
KOR6605 |
고전소설 연구 |
3 |
전공 |
KOR6017 |
식민지문화론 |
3 |
전공 |
KOR6606 |
국문학배경연구 |
3 |
전공 |
KOR6018 |
한국대중문화론 |
3 |
전공 |
KOR6607 |
한국고전작가 연구 |
3 |
전공 |
KOR6020 |
영화와서사환경 |
3 |
전공 |
KOR6609 |
외국문학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 I |
3 |
전공 |
KOR6023 |
근대동아시아문학론 |
3 |
전공 |
KOR6611 |
고전문학사연구방법론 |
3 |
전공 |
KOR6026 |
고전문학과인접예술 |
3 |
전공 |
KOR6616 |
고전텍스트를활용한문화기획 |
3 |
전공 |
KOR6028 |
구조언어학연구 |
3 |
전공 |
KOR6903 |
대조언어학입문 |
3 |
전공 |
KOR6029 |
대조 언어학 연구 |
3 |
전공 |
KOR6908 |
한국어학개론 |
3 |
전공 |
KOR6031 |
음성학연구 |
3 |
전공 |
KOR6913 |
한국어교육특강 |
3 |
전공 |
KOR6033 |
통사이론 연구 |
3 |
전공 |
KOR6914 |
한국어어휘교육론특강 |
3 |
전공 |
KOR6034 |
현대언어학연구 |
3 |
전공 |
KOR6915 |
한국어교육연구방법론 |
3 |
전공 |
KOR6043 |
언어정책연구 |
3 |
전공 |
KOR7106 |
국어의미론연구 |
3 |
전공 |
KOR6044 |
시가와매체 |
3 |
전공 |
KOR7111 |
문자학연구 |
3 |
전공 |
KOR6303 |
외국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1 |
3 |
전공 |
KOR7154 |
한국어문장분석연구 |
3 |
전공 |
KOR6304 |
외국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2 |
3 |
전공 |
KOR7203 |
고소설이본연구 |
3 |
전공 |
KOR6305 |
문학연구방법론 |
3 |
전공 |
KOR7204 |
고소설자료연구 |
3 |
전공 |
KOR6307 |
현대시연구Ⅰ |
3 |
전공 |
KOR7208 |
고전문학배경연구 |
3 |
전공 |
KOR6309 |
문예비평론연구Ⅰ |
3 |
전공 |
KOR7210 |
구비문학연구방법론 |
3 |
전공 |
KOR6311 |
현대 소설 연구 I |
3 |
전공 |
KOR7214 |
문학이론연구1 |
3 |
전공 |
KOR6319 |
현대한국시인연구(1) |
3 |
전공 |
KOR7222 |
시이론연구 |
3 |
전공 |
KOR6602 |
한국 한문학 연구 |
3 |
전공 |
KOR7225 |
젠더와문화비평 |
3 |
전공 |
KOR6606 |
국문학배경연구 |
3 |
전공 |
KOR7226 |
시가자료연구 |
3 |
전공 |
KOR6608 |
고전문학의예술사적이해 |
3 |
전공 |
KOR7228 |
현대한국어문체형성과정연구 |
3 |
전공 |
KOR6614 |
고전문학과전통문화 |
3 |
전공 |
KOR7229 |
한국어교육세미나 |
3 |
전공 |
KOR6615 |
고전문학과젠더 |
3 |
전공 |
KOR7231 |
한국근현대문학의배경 |
3 |
전공 |
KOR6901 |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론 |
3 |
전공 |
KOR7232 |
한국근현대비평사연구 |
3 |
전공 |
KOR6902 |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론 |
3 |
전공 |
KOR7233 |
한국근현대소설사연구 |
3 |
청강 |
KOR6907 |
한국어로논문쓰기및발표하기 |
0 |
전공 |
KOR7234 |
한국근현대시사연구 |
3 |
전공 |
KOR7153 |
글쓰기지도방법과전략 |
3 |
전공 |
KOR7235 |
한국근현대작가연구1 |
3 |
전공 |
KOR7213 |
문학과인접학문 |
3 |
전공 |
KOR7236 |
이중언어교육론 |
3 |
전공 |
KOR7218 |
현대문학기초세미나 |
3 |
전공 |
KOR7237 |
한국근현대작가연구2 |
3 |
전공 |
KOR7219 |
소설이론연구 |
3 |
전공 |
KOR7238 |
한국한시연구1 |
3 |
전공 |
KOR7220 |
시가의장르와역사 |
3 |
전공 |
KOR7240 |
한문비평연구 |
3 |
전공 |
KOR7221 |
한문문집연구 |
3 |
전공 |
KOR7241 |
인지문학비평연구 |
3 |
전공 |
KOR7223 |
시조 가사연구 |
3 |
전공 |
KOR7245 |
향가여요연구 |
3 |
전공 |
KOR7227 |
한국근현대문학사1 |
3 |
전공 |
KOR7245 |
향가여요연구 |
3 |
전공 |
KOR7230 |
한국근현대문학사3 |
3 |
전공 |
KOR7246 |
말뭉치처리프로그래밍연습 |
3 |
전공 |
KOR7239 |
한국한시연구2 |
3 |
전공 |
KOR7248 |
한문학작가연구1 |
3 |
전공 |
KOR7301 |
글쓰기의이론적탐색 |
3 |
전공 |
KOR7249 |
한문학작가연구2 |
3 |
전공 |
KOR7303 |
북한문학연구 |
3 |
전공 |
KOR7250 |
한국근현대문학사2 |
3 |
전공 |
KOR7304 |
북한구전문학연구 |
3 |
전공 |
KOR7253 |
한국학의국제화연구 |
3 |
전공 |
KOR7306 |
현대 동서시 강독 I |
3 |
전공 |
KOR7254 |
문화연구입문 |
3 |
전공 |
KOR7307 |
현대동서시강독Ⅱ |
3 |
전공 |
KOR7260 |
영화비평,영화소설, 그리고시나리오 |
3 |
전공 |
KOR7310 |
영상문학론 |
3 |
전공 |
KOR7305 |
북한고전문학연구 |
3 |
전공 |
KOR7315 |
세계문학과한국문학의 비교연구1 |
3 |
전공 |
KOR7307 |
현대동서시강독Ⅱ |
3 |
전공 |
KOR7318 |
글로벌시네마 |
3 |
전공 |
KOR7311 |
현대 동서소설 강독 I |
3 |
전공 |
KOR7326 |
북한의민속학연구 |
3 |
전공 |
KOR7313 |
한국문학사상사연구 |
3 |
전공 |
KOR7601 |
시조가사문학연구 |
3 |
전공 |
KOR7320 |
식민성과괴물성 |
3 |
전공 |
KOR7602 |
한문 소설 연구 |
3 |
전공 |
KOR7600 |
민요연구 |
3 |
전공 |
KOR7603 |
고전문학과문화콘텐츠연구 |
3 |
전공 |
KOR7608 |
개화기상업출판연구 |
3 |
전공 |
KOR7604 |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 |
3 |
전공 |
KOR7615 |
한문학작가연구 |
3 |
전공 |
KOR7605 |
동아시아신화연구 |
3 |
전공 |
KOR7618 |
<삼국유사> 연구 |
3 |
전공 |
KOR7606 |
방각본연구 |
3 |
전공 |
KOR7623 |
문헌설화연구 |
3 |
전공 |
KOR7607 |
한문산문연구 |
3 |
전공 |
KOR7625 |
동아시아고전문학비교연구 |
3 |
전공 |
KOR7609 |
조선후기대중문화연구 |
3 |
전공 |
KOR7626 |
고전소설사연구 |
3 |
전공 |
KOR7611 |
고소설 이본 연구 |
3 |
전공 |
KOR7627 |
국문학연구의제문제 |
3 |
전공 |
KOR7616 |
고전희곡연구 |
3 |
전공 |
KOR7630 |
한국어교재론 |
3 |
전공 |
KOR7617 |
한국한시특강 |
3 |
전공 |
KOR7636 |
고대국어연구 |
3 |
전공 |
KOR7622 |
한국야담연구 |
3 |
전공 |
KOR7637 |
구전설화연구 |
3 |
전공 |
KOR7624 |
한국시화연구 |
3 |
전공 |
KOR7638 |
구술서사의현지조사와분석 |
3 |
전공 |
KOR7626 |
고전소설사 연구 |
3 |
청강 |
KOR7999 |
연구지도1 |
0 |
전공 |
KOR7627 |
국문학 연구의 제 문제 |
3 |
전공 |
KOR8004 |
말뭉치기반국어문법연구 |
3 |
전공 |
KOR7632 |
한국고전문학연구사 |
3 |
전공 |
KOR8008 |
국어어원론연구 |
3 |
전공 |
KOR7633 |
문화교류연구 |
3 |
전공 |
KOR8012 |
사회언어학연습 |
3 |
전공 |
KOR7639 |
구술과사회 |
3 |
전공 |
KOR8017 |
중세국어음운론연구 |
3 |
전공 |
KOR7700 |
구활자본고소설연구 |
3 |
전공 |
KOR8018 |
서지학연구 |
3 |
전공 |
KOR7710 |
언어지지학연구 |
3 |
전공 |
KOR8021 |
국어정보학연습 |
3 |
전공 |
KOR7717 |
이야기분석 |
3 |
전공 |
KOR8026 |
알타이어 문법 연구 |
3 |
청강 |
KOR7999 |
연구지도1 |
0 |
전공 |
KOR8030 |
국어통사론세미나 |
3 |
전공 |
KOR8001 |
현대음운이론연구 |
3 |
전공 |
KOR8031 |
국어구어문법세미나 |
3 |
전공 |
KOR8004 |
말뭉치기반국어문법연구 |
3 |
전공 |
KOR8032 |
통사이론세미나 |
3 |
전공 |
KOR8005 |
대학글쓰기교수방법연구 |
3 |
전공 |
KOR8033 |
국어통사론특강 |
3 |
전공 |
KOR8009 |
현대의미이론연구 |
3 |
전공 |
KOR8034 |
국어문법론특강 |
3 |
전공 |
KOR8014 |
국어사전학연습 |
3 |
전공 |
KOR8035 |
통사이론특강 |
3 |
전공 |
KOR8018 |
서지학연구 |
3 |
전공 |
KOR8110 |
국어통사론연습 |
3 |
전공 |
KOR8020 |
근대국어특수연구 |
3 |
전공 |
KOR8111 |
국어통사론특강 |
3 |
전공 |
KOR8101 |
계몽기국어연구 |
3 |
전공 |
KOR8116 |
변형생성이론연구 |
3 |
전공 |
KOR8102 |
계몽기국어연습 |
3 |
전공 |
KOR8117 |
북한국어학연구 |
3 |
전공 |
KOR8112 |
국어형태론연습 |
3 |
전공 |
KOR8119 |
말뭉치처리프로그래밍 |
3 |
전공 |
KOR8118 |
근대필사자료강독 |
3 |
전공 |
KOR8209 |
한국어이해교육론 |
3 |
전공 |
KOR8302 |
글쓰기교육의 연구방법론 |
3 |
전공 |
KOR8212 |
한국어담화교육특강 |
3 |
전공 |
KOR8303 |
동아시아영상문화론 |
3 |
전공 |
KOR8213 |
한국어이해교육특강 |
3 |
전공 |
KOR8304 |
한국시사연구 |
3 |
전공 |
KOR8302 |
글쓰기교육의연구방법론 |
3 |
전공 |
KOR8305 |
현대소설사연구 |
3 |
전공 |
KOR8303 |
동아시아영상문화론 |
3 |
전공 |
KOR8309 |
장르 이론 연구 |
3 |
전공 |
KOR8304 |
현대시사 연구 |
3 |
전공 |
KOR8310 |
현대시 운율론 |
3 |
전공 |
KOR8307 |
문체론연구 |
3 |
전공 |
KOR8320 |
동아시아비교문학 |
3 |
전공 |
KOR8308 |
비평사 연구 |
3 |
전공 |
KOR8401 |
말뭉치언어학연습 |
3 |
전공 |
KOR8309 |
장르이론연구 |
3 |
전공 |
KOR8407 |
말뭉치의새로운데이터중심언어동향2 |
3 |
전공 |
KOR8313 |
한국어학습자사전연구 |
3 |
전공 |
KOR8501 |
19세기고소설연구 |
3 |
전공 |
KOR8316 |
동아시아문화론 |
3 |
전공 |
KOR8515 |
근현대문학과젠더 (성, 계급 등) |
3 |
전공 |
KOR8317 |
현대동아시아문학론 |
3 |
전공 |
KOR8517 |
모더니티와이동 |
3 |
전공 |
KOR8318 |
한국근대문학풍속사연구 |
3 |
전공 |
KOR8521 |
한국근대문학원전강독 |
3 |
전공 |
KOR8319 |
한국근대일본어소설연구I |
3 |
전공 |
KOR8601 |
민속문화연구 |
3 |
전공 |
KOR8324 |
글쓰기교육프로그램 및 방법론연구 |
3 |
전공 |
KOR8611 |
세계문학으로서의한국문학2 |
3 |
전공 |
KOR8325 |
텍스트분석이론과방법 |
3 |
전공 |
KOR8613 |
한국어번역문장연구 |
3 |
전공 |
KOR8402 |
말뭉치언어학연구 |
3 |
전공 |
KOR8614 |
한국문학번역워크숍 |
3 |
전공 |
KOR8403 |
말뭉치의새로운데이터 중심언어동향 |
3 |
전공 |
KOR8618 |
동시대한국소설연구 |
3 |
전공 |
KOR8405 |
글쓰기연구사 |
3 |
전공 |
KOR8619 |
한중문학번역실습 |
3 |
전공 |
KOR8502 |
개화기시가연구 |
3 |
전공 |
KOR8800 |
퀴어영화론 |
3 |
전공 |
KOR8503 |
개화기한문학연구 |
3 |
전공 |
KOR8822 |
탈식민미학의젠더 |
3 |
전공 |
KOR8504 |
한글소설연구 |
3 |
전공 |
KOR8823 |
한국신화와전설 |
3 |
전공 |
KOR8505 |
고소설과표기문자 |
3 |
청강 |
KOR8902 |
외국어로논문쓰기및발표하기 |
0 |
전공 |
KOR8508 |
고전문학현장조사 |
3 |
청강 |
KOR9999 |
연구지도2 |
0 |
전공 |
KOR8509 |
구비문학과미디어 |
3 |
|
|
|
|
▣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은 이수 총 12학점까지 수강할 수 있다.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특강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정보교육론
◆ 대조언어학연구
◆ 외국문학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
◆ 외국문학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
◆ 한국어로 논문쓰기 및 발표하기
▣ 한국어교사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과 과정
한국어교사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학생은 ‘한국어교사자격증’ 취득을 위한 과목을 수강해야 한다. 자격증 취득을 위해 반드시 이수해야 할 영역 별 교과 과정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들은 각각 ‘한국어교사자격증’ 취득을 위한 과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위의 과목들이 ‘한국어교사자격증’을 위한 교과과정 중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외)는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을 가리킨다.)
영역 | 과목 예시 |
영역별 필수 이수 학점 |
비고 |
---|---|---|---|
한국어학 |
국어문법론연구, 국어음운론연구, 국어의미론연구, 국어통사론특강, 국어형태론연구,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정보학연습 |
3학점 |
선택 |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
대조언어학연구, 대조언어학입문, 대화분석연구, 망뭉치기반담화분석론, 말뭉치기반대조언어학, 말뭉치언어학연구, 사회언어학연구, 사회언어학연습, 언어습득론연구, 응용언어학연구, 화용론연구 |
선택 |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
멀티미디어한국어교육론,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특강, 한국어교수법, 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교육세미나, 한국어교육특강, 한국어교재론, 한국어담화교육론, 한국어담화교육특강,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문화교육론, 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특강, 한국어이해교육론, 한국어이해교육특강, 한국어평가론, 한국어표현교육론 |
9학점 |
선택 |
한국 문화 |
동아시아문학비교연구 1·2, 세계문학으로서의한국문학1·2, 한국문화론 |
3학점 |
선택 |
한국어교육 |
한국어교육실습, (실습정비)한국어교육실습 |
3학점 |
필수 |
합계 |
18학점 |
▣ 창의융복합전공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창의융복합전공(이하 융복합전공)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국어국문학의 세계화를 선도하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혁신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융복합전공은 ‘한국 언어·문화·문학의 번역’, ‘한국 언어·문화·문학 콘텐츠와 교육’, ‘한국 문화의 전시 및 기획’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융복합전공은 대학원 입학 시 별도 전형을 통해 선발한다. 다만 국문과 일반대학원생들의 경우 석사 2학기까지 전공 교수의 추천과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융복합전공으로 변경할 수 있다. 융복합전공의 입학전형 방법은 서류심사로 하되 필요에 따라 필답시험과 구술시험을 부가할 수 있다. 입학전형 서류에는 전공설계도가 포함되며, 학업계획서에는 기존 자신의 활동을 입증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와 문화콘텐츠의 기획과 실행에 관한 계획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전공 특성에 따라 선발 시 관련된 자격이나 성적 등의 조건을 요구할 수 있다.
학생은 융복합전공의 세부 전공(번역, 콘텐츠와 교육, 전시 및 기획)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졸업 가능 30학점 중 최소 18학점을 국어국문학과에서 이수해야 한다. 그 이외 학점은 타 학과나 타 대학 개설의 수강과목에서 수강할 수 있다. 융복합전공 학생은 자격시험으로 2과목을 응시한다. ⓵ 국어학, 현대문학, 고전문학 전공 종합시험 중 한 과목과 ⓶ 융복합전공(번역, 콘텐츠와 교육, 전시 및 기획)을 응시해야 한다. 융복합전공 시험의 출제는 지도교수나 외부의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연구 프로젝트 계획이 포함된 논문을 작성해야 하며, 동시에 프로젝트 결과물을 제출해 운영위원회로부터 심사를 받아야 한다. 학위는 학위 논문 및 프로젝트 결과물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여한다.
융복합전공의 주요 주제 및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한국학: 한국어문학의 디지털화에 대한 연구, 한국어문학의 저층 데이터를 디지털 자료로 전환하는 연구, 한국문학을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문학 안으로 진입시키고 확산시키는 연구, 인문학데이터를 디지털 콘텐츠로 전환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 언어·문학·문화 교육 콘텐츠 개발: 언어·문학·문화 관련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 언어·문학·문화 관련 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프로그램 개발
◆ 한국 문학·문화 콘텐츠 번역: 한국 문학·문화 관련 텍스트와 콘텐츠의 외국어 번역, 한국 문학·문화 관련 텍스트와 콘텐츠를 세계 문학·문화에 진입, 확산시키는 연구
◆ 한국 언어·문학·문화 컨텐츠의 전시·공연 및 출판 기획: 한국 문학·문화 관련 콘텐츠 연구, 한국 문학·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전시, 공연 및 출판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