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열린마당

제목
정광철 교수, 한경아 박사 파킨슨병 유발 LRRK2 효소의 신규 기질로서 크로마틴 조절효소 HDAC3와 이를 통한 신경계 생존제어 현상을 규명
작성일
2020.08.19
작성자
시스템생물학과 관리자
게시글 내용

2017-02-06

정광철 교수, 한경아 박사는 파킨슨병의 주요발병인자인 Leucine Rich Repeat Kinase 2 (LRRK2)의 새로운 결합 단백질로 히스톤의 아세틸화를 조절하는 HDAC3 효소를 동정하였고, 이들의 상호 결합을 통한 신경세포사멸 조절기작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Leucine-rich repeat kinase 2 exacerbates neuronal cytotoxicity through phosphorylation of histone deacetylase 3 and histone deacetylation”라는 제목으로 해외 우수 국제학술지인 ‘Human Molecular Genetics’에 게재되었다.


사회적으로 구성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알츠하이머, 파킨슨병과 같은 노인성 뇌 질환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추세에 따라 이들 퇴행성 뇌 질환의 원인규명 및 치료방법에 대한 관심이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파킨슨병은 노인성 치매 질환 다음으로 발병률이 높은 퇴행성 뇌 질환이며 노화와 비례하게 연관되어 발병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의 병리적 특성은 중뇌 흑색질의 도파민성 신경세포 소실과 세포질 내 독성 단백질 응집체 형성이 대표적이다. 이런 파킨슨병의 발병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인산화효소 활성을 가진 Leucine Rich Repeat Kinase 2 (LRRK2)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파킨슨병의 주요한 발병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흥미롭게도 이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암호화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인산화효소 활성 증가에 의한 세포독성 현상이 잘 알려져 있으나 그 분 자 유발기작은 아직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정광철 교수 연구팀은 LRRK2의 새로운 기질로 히스톤 단백질의 탈아세틸화를 통해 전사반응을 조절하는 Histone deacetylase 3 (HDAC3)을 동정하였고, LRRK2에 의해 HDAC3의 탈아세틸화 효소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 뿐 아니라 LRRK2는 핵-세포질 이동 매개 단백질인 KPNA2/6 단백질의 인산화를 통해 HDAC3의 핵 내부로의 이동을 촉진시켰다. 그 결과, 히스톤 H4의 탈아세틸화가 촉진되었으며, 흥미롭게도 파킨슨병 증상을 유발하는 6-hydroxydopamine (6-OHDA) 처리 시 LRRK2에 의한 HDAC3의 인산화와 핵 이동이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LRRK2 돌연변이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도 HDAC3의 인산화 및 히스톤 H4의 탈아세틸화 증가를 확인하였다. 그 뿐 아니라 아미노산 치환을 통해 HDAC3의 인산화를 억제할 시, LRRK2 돌연변이에 의한 신경세포 독성이 억제됨을 확인함으로써 HDAC3가 LRRK2에 의한 세포독성의 주요 매개 단백질임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LRRK2에 의한 세포독성 유발 기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