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질적연구 콜로키움
3월 콜로키움
  • 발표자: 정혜선(호주 뉴캐슬대학 객원교수, 지리학)
  • 제목: 한국-베트남 결혼이주를 통해 본 해외원조의 성격변화
  • 일시: 3월 21일 (수) 오후 5시
  • 장소: 백양관 N402호
  • 개요: 이주의 시대를 맞아, 해외원조의 성격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원론적으로 해외원조는 수원국의 빈곤퇴치와 발전도모를 목적으로 하지만, 계획과 집행에서 수원국보다는 공여국의 이익을 더 많이 반영하게 된다는 것이 그동안의 정치경제학적 결론이었다. 최근에는 특정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의 이주가 증가할수록, 해당 공여국에서 수원국으로의 해외원조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국의 상생발전(co-development)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결혼이주의 증가와 함께, 베트남 이주자와 다문화자녀들이 국내 빈곤층의 상당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국내 NGO들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베트남 이주자에 대한 사업을 운영함과 동시에 그들의 베트남 고향에 대한 해외원조도 수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주자의 참여를 도모하고 있다. 이 세미나에서는 대베트남 한국 해외원조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주로 인한 변화가 해외원조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도 함께 가져오는지, 즉, 해외원조를 통한 상생발전은 가능한 것인지를 논의한다.

4월 콜로키움
  • 발표자: 장지현(연세대 문화인류학과 석사수료)
  • 제목: 사이버스페이스 탐사기: 시행착오와 질문들
  • 일시: 4월 25일 (수) 오후 5시
  • 장소: 백양관 N402호
  • 개요: 인터넷과 사이버스페이스, 그 중에서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사회과학의 주제로 등장한지 오래이며, 다양한 학문 분과만큼이나 많은 방법론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그렇다면 인류학의 특색이라 할 수 있는 참여관찰은 어떨까? 인류학의 기존 참여관찰 방법론을 그대로 소셜네트워크 분석에 적용할 수 있을까? 사이버스페이스에의 참여관찰은 연구 대상이 되는 장소와 사람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일으킨다. 물리적 실체가 불분명해보이는 사이버스페이스상에서, 또한 연구자는 연구 대상이 아닌 연구 참여자와의 관계 설정이라는 인류학의 기본 윤리 문제와도 맞닥뜨린다. 이 발표에서는 이처럼 연구자가 사이버스페이스라는 공간과 그 안의 사람을 ‘참여관찰’해온 경험에서 비롯된 시행착오와 질문들을 공유한다.

5월 콜로키움
  • 발표자: 정민우 (서던캘리포니아대 사회학과 박사수료,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방문학자)
  • 제목: 권리의 구매: 아시아에서 기업 시민권의 등장
  • 일시: 5월 9일 (수) 오후 5시
  • 장소: 백양관 N402
  • 개요: 시민권에 대한 많은 논의들은 국가를 통한 권리의 수여 여부 및 방식에 집중하면서, 국가를 시민적, 사회적 권리 수여의 유일한 권위체로 상정해 왔다. 이러한 가정을 문제시하면서, 이 연구는 국가가 사회적으로 주변화된 집단의 권리를 제약할 때 시장이 새로운 권리 수여의 장으로 부상할 수 있으며 이 때 권리가 일종의 구매가능한 상품으로 재구성된다고 주장한다. 한국, 대만, 싱가포르에서의 18개월의 참여관찰 및 188명의 LGBT 운동 참여자 및 기업 행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연구는 ‘다양성과 포용성 (Diversity and Inclusion)’을 내건 기업 내 정책, 프로그램, 그리고 프로젝트들이 구현되어 온 아시아의 다양한 시공간을 검토한다. 2010년대 초반 이후 국제 인권 담론에 LGBT 를 비롯한 소수자 권리가 적극적으로 포섭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직장 내 소수자 권리 보장 정책을 계발하고 소수자 자조모임을 지원하며, 기업 밖의 시민사회 활동을 후원하기 시작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전지구적 흐름이 아시아의 세 상이한 시장들에서 각기 다른 경로로 전개되었으며 이 때 특히 국가의 성적 거버넌스 형태와 지배적인 기업 문화, 그리고 사회운동의 정치적 규범에 따라 ‘기업 시민권 (corporate citizenship)’의 형식과 내용이 상이하게 부상했음을 보여줄 것이다.

6월 콜로키움
  • 발표자: 박준영(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 박사과정)
  • 제목: 인공지능(AI)기술로 플랫폼 자본주의를 구성하는 행위자 연구
  • 일시: 6월 20일 (수)오후 5시
  • 장소: 백양관 N402
  • 개요: 본 발표는 플랫폼 자본주의를 구성하는 행위자들이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이를 시장화 하는 과정을 핀테크 스타트업에서의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플랫폼은 기술을 중심으로는 머신러닝 소프트웨어 기술과 반도체 하드웨어 기술로 구성되고, 국내외 금융자본주의 시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행위자는 기술자 개인과 조직, 금융시장 참여자와 조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화된다. 본 발표에서는 특히 행위자들이 플랫폼 변화를 둘러싸고 어떻게 다양한 행위와 담론을 구성하는가에 주목할 것이다.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10주년 기념 해외학자 초청강연
  • 발표자: 헨리 아벨로브Henry Abelove (웨슬리언 대학Wesleyan University)
  • 제목: The History of The Closet
  • 일시: 2018년 9월 13일 (목) 17:00-19:30
  • 장소: 연희관 308호
  • 개요: I begin with some reflections on life and death of F. O. Matthiessen, an eminent left-wing American intellectual who killed himself in 1950. Matthiessen was gay but had been reticent about his gayness throughout his adult life. Some of those who mourned him, particularly his admirer the poet Frank O’Hara, thought that Matthiessen’s reticence had bred the desperate unhappiness which had led him to suicide. O’Hara too was gay but openly so. In two influential poems, responding in part to the suicide, O’Hara introduced “the closet” as a figure of speech connoting gay non self-disclosure. I aim to explain why O’Hara’s figure of speech came to be so widely adopted in American public discourse; why the figure has been, and still is, sometimes resisted and criticized; and why it has recently proved to be inspirational for those undocumented immigrants who call themselves “Dreamers.”

  • 발표자: 오가와 사야카 Ogawa Sayaka (리쓰메이칸 대학Ritsumeikan University)
  • 제목: The Logic of “Open Reciprocity”: A Case Study on “the Sharing Economy” and “Platform-type Civil Society” among Tanzanians in Hong Kong
  • 일시: 2018년 9월 17일 (월) 17:00-19:30
  • 장소: 연희관 404호
  • 개요: From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the grassroots of transnational informal trades between China and African countries are rapidly taking place. African traders who flocked to China, while conflicting with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mmigration and commercial laws, etc., purchasing a variety of products, including copied, knockoffs and counterfeits, and transport them to their home countries. Tanzanian traders in China and Hong Kong formed their own unions intended to 1) rise the fund for meeting contingencies such as illness, death, forced repatriation and so on; 2) solute various conflicts with the host societies; 3) facilitate transnational commercial transaction by providing assurances for cash and commodities transfer. These unions include a multitude of the "commercial travelers" those who coming and going between China/Hong Kong and Tanzania while the core member of the union is the relatively long-stay broker. The business of China has high speculative nature and some of traders never come back again to China/Hong Kong. The membership of the unions has a high fluidity so that they can't invite the members' contribution to the union based on “reciprocity”. Also, their unions include several “criminals” such as drug dealers, illegal prostitutes, and thieves, “trust” among the members is completely lacking. How do they manage the unions, a kind of civil society activities, without "reciprocity" or "trust" that ar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mainstream of civil society theory? In this presentation, I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logic of “open reciprocity” in the socio-economic transform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CT and cognitive capitalism by clarifying the continuities between the sharing economy and “Platform types civil society” created by Tanzanians in China/Hong Kong.

  • 발표자: 통차이 위니짜꾼 Thongchai Winichakul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and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in Japan)
  • 제목: A History to Do Battle with the Cruelty of Thai History
  • 일시: 2018년 10월 19일 (금) 17:00-19:30
  • 장소: 연희관 404호
  • 개요: What should we do when historical knowledge contributed to a political atrocity? An alternative history is warranted to do battle with such cruel historical knowledge. On October 6, 1976, a horrifying massacre took place in Bangkok, due partly to the intensely anti-communist hatred. The political ideology based on the royal-nationalist history was a major contribution to such hatred and heinous actions. Such historical knowledge and political ideology have been part of the anti-democratic tendency in Thailand for many decades. An alternative history should try to do battle with the official Thai history to disarm the danger of the latter. Siam Mapped is an example of such alternative history. How does it do so, substantively, methodologically, and politically? Does the politics of an alternative history compromise its scholarly integrity and quality, and vice versa? Are there other alternative history?

  • 발표자: 미건 시닛 Megan Sinnott (조지아 주립 대학 Georgia State University)
  • 제목: The Libidinal and the Spiritual: A Gendered Analysis of Spirit Practices in Thailand
  • 일시: 2018년 10월 25일 (목) 17:00-19:3
  • 장소: 연희관 308호
  • 개요: Ghosts and spirits are ever present in the Thai landscape, evident in the ubiquitous spirit shrines and offerings that dot the countryside and cities, as well as the supremely popular Thai ghost movie (which include the genres of drama, suspense, horror, and comedy). Spirits guard houses, haunt the stranger as well as the loved one, animate the landscape, and befriend the mortal. Spirits are part of everyday life; they are propitiated, worshipped, loved, feared, and dreaded. Spirits are so central to the everyday experiences of many people that any account of religion and culture in Thailand is not complete without an accounting of how the spirit world informs both personal experience and ideological structures. This paper reviews contemporary approaches to the study and analysis of spirit beliefs/practices, arguing that a social justice framework can be enriched by a more robust incorporation of affective and psychic dimensions of the spirit world. Specifically, I discuss how gender, a multi-dimensional ideological structure that is historically and culturally specific, can be explored through expressions of the spiritual. This connection should not be surprising as one can see the inherent libidinal, or sexual aspects of the spiritual; the spirit world is unruly, forbidden yet beckoning, mysterious, and ultimately uncontainable. This powerful realm of the spirit, which lay just beyond the scope of human control, informs the ways in which the nature of men and women, their bodies and their desires, are described, challenged, and endlessly reworked. This paper is based off my current book manuscript on the gendered and sexual dimensions of spirit beliefs in Thailand.

  • 발표자: 쳉 실링 Sealing Cheng (홍콩중문대학, 인류학과Anthropology,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 제목: Talents Displaced: A Story of Music and Refugees in Hong Kong
  • 일시: 2018년 11월 7일 (수) 17:00-19:30
  • 장소: 연희관 404호
  • 개요: Founded in 2016, Talents Displaced is a band made up of asylum-seekers and other ethnic minorities in Hong Kong. Guided by the idea that they are artists first, and asylum-seekers second, Talents Displaced operates on the model of collective decision and mutual collaboration, independent of any NGOs or charitable organizations. The band performs original songs featuring rap in different languages, vocals, African drums, a DJ and sometimes dancers. All members of Talents Displaced are of African or South Asian descent, familiar with the everyday marginalization and stigmatization of ethnic minorities, not to mention asylum-seekers and refugees, in Hong Kong. Music serves as a space where self-expression, social transgression, and aspiration for change are possible. Locating the creative energies and troubles of Talents Displaced in the context of the racial-border regime of Hong Kong, I discuss the genesis of the band, its significance to the band members, as well as the way they seek to challenge dominant discourse about asylum-seekers and refugees in Hong Kong. I further used this experience to explore questions about the centrality of music as a site for understanding issues of identities, differences, vulnerabilities and resistance for displaced peoples.

  • 발표자: 송제숙 Jesook Song (토론토 대학, 인류학과Anthropology, University of Toronto)
  • 제목: Critical Approaches to Forms of Justice in Political Anthropology: Centering Distributional Justice and Transitional Justice
  • 일시: 2018년 11월 14일 (금) 17:00-19:30
  • 장소: 새천년관 112호
  • 개요: This talk explores put together two modes of justices: distributional justice exemplified as in welfare state and transitional justice widely represented in reconciliation committees. The exploration is casted in the hopes of creating a dialogue between what is considered as ‘political’ (focusing on the criticism of liberalism or making liberalism as the primary object of knowledge) and what is viewed as ‘political economic’ (focusing on the ways in which capital accumulation is structured). Distributional justice through the welfare state is infelicitous in not dissimilar ways to how transitional justice through international courts (or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s) is inherently ‘abortive.’ Both deflect the orientation of reckoning with deep-seated structural issues by focusing instead on addressing negative repercussions in the name of practicality. The (neo)colonial order that haunts us in the post-colonial redress culture is silenced when pressure to rectify structural conditions ends in mere nominal recognition or the logistics of monetary compensation. How capitalist form of wealth has been and will continue to be made is side-lined when consequential problems of accumulation are redirected as a matter of generosity and a redistribution of wealth. These soothing rituals of liberal ideology that advocate for the rights of the vulnerable are not equipped to transcend deep-seated political-economic violence, such as colonialism and capitalism.

  • 발표자: 최시현(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 박사과정)
  • 제목: 집구하기의 가족정치학 : 한국 중산층여성의 도시 주거생애사 연구
  • 일시: 12월 3일 (화), 오후 7시
  • 장소: 백양관 N401호
  • 개요: 본 발표는 한국 도시 중산층 여성들의 주거생애사에서 나타나는 주택실천(집구하기)에 주목한다. 한국사회에서 주택은 상징적 지위재로서 계급적 열망의 대상이자 발전주의의 핵심동력이었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주택시장의 활성화 속에서 중산층 여성의 집구하기가 어떻게 가족 및 계급담론을 재생산해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여성주의적 개입으로서 본 연구는 주택실천의 장을 결정짓는 시장가치 지향성과 이성애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넘어서는 주택실천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 발표자: 이수연(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석사과정)
  • 제목: 젠더적 접근으로 본 저임금 한부모여성의 ‘창업가되기’를 통한 임파워먼트 - A마이크로크레딧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
  • 일시: 12월 17일 (화), 오후 7시
  • 장소: 백양관 N401호
  • 개요: 본 연구는 저임금 한부모여성들의 마이크로크레딧(소액대출)을 통한 ‘창업가되기’ 경험과 그 과정에 집중한다. 한부모 여성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양육의 이중고, 다차원적으로 작용하는 사회적 배제 가운데 ‘창업’이라는 독립적인 생산수단 확보를 통해 자신만의 ‘자립’ 공간을 만들어가고 있다. 창업을 통해 한부모 여성들이 상상하고 열망하는 자립이란 빈곤을 벗어난 경제적 독립 뿐 아니라 젠더 억압에서 벗어난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삶을 향한 의지이자 한 개인으로서 임파워먼트 되는 힘기르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여성의 역량강화empowerment 관점에서 바라보고, 창업 전 후 한부모 여성이 느끼는 변화를 경제적 측면 뿐 아닌 비경제적인 측면 즉 시간적 자율성, 자기 통제감, 사회적 관계망 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한다.

  • 발표자: 판팃(문화인류학과 석사과정)
  • 제목: Student mobility and Thai youth’s experiences in South Korea
  • 일시: 10월 22일(목), 오후6시
  • 장소: 미정
  • 내용: This research focuses on Thai youths who have come to Korea to pursue higher education degrees. As both undergraduate program and graduate program typically require not less than one year, studying for a degree in a foreign country can be a different time and space which students did not experience in home country. This study determines to find in what way their experiences affect their values and what they reflect on youth in Thai society as well as Korean higher education.

  • 발표자: 김주온(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 석사과정)
  • 제목: 기본소득 청년운동에 대한 성찰적 문화기술지 연구
  • 일시: 10월 29일 (화), 오후 7시
  • 장소: 백양관 N401호
  • 개요: 이번 발표에서 소개하는 연구는 ‘기본소득’이라는 의제를 매개로 이전세대와는 다른 방식의 운동을 고민하며 활동해온 B네트워크 청년들의 서사와 성찰에 주목하는 문화기술지다. 연구자는 기본소득 청년운동 행위자들의 경험세계를 돌아보고 이들의 활동이 사회운동으로 자리매김 해온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 활동 이야기의 사회적 의미를 질문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그동안 B네트워크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해왔으며, 이 연구에서 스스로의 성찰과 동료 활동가들의 성찰 과정을 기획하고 정리하여 분석하는 ‘활동가-연구자’로서의 위치성을 갖는다. 직접 참여해온 운동을 낯설게 보고 자기비판적인 성찰을 시도하기 위한 문화기술지 쓰기는 성찰적 인류학의 흐름에서 강조되어 온 문화비평으로서의 인류학을 실천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스스로의 복합적인 위치성 및 참여관찰의 경험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이에 따른 성찰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의 방법을 택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이러한 방법론을 택하여 현재까지 진행한 연구 내용과 그 과정에서의 고민을 공유하고자 한다.

  • 발표자: 이효영(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석사과정)
  • 제목: 복지수혜자와 통일매개자 사이, 탈북민-창업가 만들기-사회혁신 NGO의 탈북민 창업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일시: 11월 5일 (화), 오후 7시
  • 장소: 백양관 N401호
  • 개요: 본 연구는 사회혁신NGO의 창업지원사업 운영자들과 탈북민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 및 프로그램의 동학을 문화기술지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5년째 탈북민 창업을 지원 중인 국내 한 사회혁신 NGO의 프로그램을 지난 2018년 9월부터 약 8개월 간 참여관찰하고 관계자들을 인터뷰하였다. 기존의 탈북민 연구가 주로 북한학 또는 이주연구의 맥락에서 탈북민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작업에 집중하였다면, 본 연구는 탈북민의 행위자성과 한국 사회 내 실천들을 탐색하는 실증적 연구들과 맥을 같이 한다. 한반도 분단상황에서 한국 사회는 탈북민을 복지대상으로 소환함으로써 남한의 우월성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언제든지 적으로 돌변할 수 있는 탈북민의 위험성을 잠재우고자 하였고, 냉전 종식 이후에는 이들에게 ‘통일의 매개자’라는 수식어를 붙여 투자할만한 새로운 인적자본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사회복지가 빈민의 자활을 위한 소득 및 고용 증대에 집중하던 방식에서, 점차 수혜자 개인이 자기계발의 책임을 자임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으로 옮겨간 흐름의 변화와도 연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냉전 이후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기대가 한국 신자유주의 복지의 변이와 교차하는 지점에 ‘탈북민 창업’을 위치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탈북민 창업지원의 장을 이해하면서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에 답할 것이다. 첫째, 냉전 종식 이후에도 여전히 분단의 긴장이 지속되는 한국 사회 내에서 탈북민의 창업지원을 돕는 주체들은 어떤 방식으로 탈북민 지원을 정당화하며, 동시에 탈북민은 스스로를 어떻게 정체화함으로써 창업의 기회를 획득하고 있는가? 둘째, 사회혁신 NGO는 정부나 기업의 재원을 통해서만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 구조적 제약하에서 프로그램 행위자들과 어떻게 갈등하고 협상하며 프로그램을 지속하는가? 셋째, 이 과정에서 프로그램이 내세운 ‘탈북민의 자립’이라는 목표는 어떤 정치적 효과를 야기하는가?

  • 발표자: 한선영(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석사과정)
  • 제목: 북한 지식 유통의 지정학 : 방법으로서의 청년에 대한 에스노그래피
  • 일시: 11월 19일 (화), 오후 7시
  • 장소: 백양관 N401호
  • 개요: 본 연구에서는 북한 기행, 국경 답사를 비롯하여 남북청년의 ‘교류’와 ‘마주침’을 기획하는 활동에 주목한다. 2010년대 한국 사회에서 생물학적 연령에 근거한 세대로서의 청년과 문화적 이념형으로서의 청년성의 괴리를 해석하기 위한 최근의 논의들은, 유연하고 기동적인 청년의 ‘이념형’이 특정 연령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년성 그 자체가 가치로 통용되고 있다는 ‘청년자본’의 개념화까지 저변을 넓혀왔다. ‘남한’이라는 섬에 갇힌 ‘청년’이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만성화된 불안정성의 문제를 가시화하는 상징으로 자리잡았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한다. 국경을 넘어 ‘북한’을 새로운 프런티어-시장으로 탈바꿈시키고 ‘연결의 지정학’을 태동시키는 지식 유통과 실천 속에서 왜 ‘청년’이라는 기표는 끊임없이 초대되고 있을까? 북한에 대한 어떤 지식이 청년을 대상으로 유통되며, 청년 행위자는 지식 생산과 유통에 어떻게 참여하는가? 연구자는 상기의 두 질문을 경유하여, 분단체제 지정학의 비정상성을 극복하는 ‘청년’이라는 범주가 기획되고, 이 생성의 과정 속에서 북한에 대한 앎이 배치되는 효과를 탐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