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소개
- 교육목표
- 교육대상
- 프로그램
- 학위과정
항 목 | 내 용 |
---|---|
학위과정 |
일반대학원 제약산업학 협동과정 석사과정 |
학위명 |
약학 석사(Master of Science in Pharmacy) |
지원 자격 |
국내외 4년제 대학 졸업자(학사학위소지자)/동등 이상 자격 의약품 경제성평가, 임상시험 매니지먼트, AI·빅데이터, 제약·바이오 제조품질 관리 등에 관한 전문지식과 현장형 실무능력을 함양하여 제약산업의 창조적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자 |
모집인원 | 연간 모집정원 00명 |
수업 형태 | 주간, 야간, 주말, 현장실습 |
학기 운영 | 매 학년도 2학기제 |
교육 방법 | 전일제 원칙, 부분제도 허용 |
졸업 요건 |
≥30학점 석사학위논문 (현장형 연구프로젝트로 논문 대체 가능) 기타 연세대학교 대학원 졸업요건에 준함 |
- 세부전공
세부 전공 | 교육 내용 |
---|---|
의약품 경제성평가 전공 (Pharmaceutical Outcomes Research) |
의약품 경제성평가 등 의약품의 가치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보험등재 및 약가 결정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체계적, 전문적으로 교육함. |
임상시험 매니지먼트 전공 (Clinical Trial Management) |
의약품 개발을 위한 비임상, 임상 실시와 관련한 제반 지식, 시험관리, post-marketing surveillance (PMS)에 대해 전문적으로 교육함. |
AI·빅데이터 전공 (Artificial Intelligence·Big Data) |
의약품 개발, 안전관리 등 제약기업 실무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에 요구되는 지식과 실무에 대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교육함. |
제약·바이오 제조품질관리 전공 (Bio/Pharmaceutical Manufacturing Practice & Quality Management) |
화학 및 바이오의약품의 원료 및 완제품의 인허가 및 생산(제조 및 품질관리)에 필요한 제조공정 단위조작이론, 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 (CMC), 밸리데이션, 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설계기반품질고도화(QbD)에 대하여 이론과 실무를 전문적으로 교육함. |
- 교과목 개요
교과목명 | 교과설명 | 학점 |
---|---|---|
의약통계 자료분석론 | 의약통계학의 기초이론과 실습 | 3 |
제약산업개론 | 제약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 | 3 |
임상현장자료(RWD) 기반 연구방법론 |
임상현장자료(Real-World Data, RWD) 기반 연구방법론 | 3 |
지적재산권학 |
의약품의 승인 절차 및 특허 연계시스템 이해 글로벌 CRO의 관점 및 제약산업의 투자와 관련된 지적재산권 문제의 이해 |
3 |
약사관계 법규 및 인허가제도 |
국내외 제약관련 법규 의약품 허가심사체계 및 관련 규정 |
3 |
의약품정책론 |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의약품의 개발/허가/보험등재/약가/유통/안전관리 등 전주기 관련 정책 |
3 |
약리학특론 1 |
약물의 작용에 대한 기본 원리 자율신경계 및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의 작용기전 |
3 |
약리학특론 2 | 심혈관계, 비뇨기계, 내분비계, 소화기계, autacoid와 연관된 약물, 항암제, 항균제의 작용기전 | 3 |
경제성평가 방법론 기초 | 경제성평가 방법론의 기초 방법론 | 3 |
경제성평가 방법론 심화 | 경제성평가 방법론의 심화 방법론 | 3 |
의약빅데이터 분석론 | 주요 빅데이터(청구자료, 국민건강영양조사, 의료패널자료 등) 이해와 분석 실습 | 3 |
고급통계분석방법론 | 의약통계학의 고급이론과 실습 회귀분석, 로짓모델, 생존분석 등 실습 | 3 |
임상시험디자인 |
임상시험의 개요 및 윤리 임상시험 디자인의 이해 임상시험 설계 실습 |
3 |
CRA과정 이론과 실제 |
CRA 기본 업무 소개/실습 GCP |
3 |
임상시험자료분석 |
임상시험 자료분석을 위한 약동학, 약력학의 이해 NONMEM, WINNONLIN 이론 및 실습 |
3 |
약물치료의 이해와 적용 |
의약학 정보 수집 및 평가 방법, 약물이상사례의 이해 약물이상사례 인과성 평가 실습 |
3 |
AI 기반 신약개발 |
신약개발에서 AI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의 습득 프로그래밍을 통한 실습 |
3 |
AI 신약개발 전략연구방법론 |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다양한 신약 개발 연구 기법에 대해 학습 | 3 |
바이오의약품개발론 | 바이오의약품 특성/허가심사 규정, 사례 바이오의약품 세포주 개발, 배양, 정제, 완제품 제조, 품질평가 | 3 |
의약품설계 제조품질관리학 |
GMP, 적격성 평가, 밸리데이션 GMP 규정 및 가이드라인 이해 의약품 특성별(의약품, 바이오의약품) GMP 가이드라인 이해 |
3 |
제제공학 특론 |
제형의 설계원리/ 제조공정에서의 공정 변수 및 단위조작의 원리 이해 화학/바이오의약품의 최적 처방 설계 |
3 |
설계기반 품질고도화 총론 |
ICH Q8(R2), Q9, Q10, Q11에 의거한 설계기반품질 (QbD) 실험계획법 (DoE), 품질리스크 관리, 지식 관리. 제품과 공정에 대한 이해 잠재 CQAs 대상 제품품질 영향요인 |
3 |
QC 활용 기기분석학 |
QA/QC 업무에 활용되는 분광분석법/분리분석법 원리에 대한 이해 기기분석법 실제 응용 사례 학습 |
3 |
Pharma Marketing의 이해와 실전 | 국내 주요 신약, 개량신약 및 제네릭 개발사의 세계시장 진출전략 학습과 실제 사례에 대한 제약사 임직원과의 질의응답을 통한 사례교육 | 3 |
제약산업현장실습 1 & 2 | 전공 관련 산업현장에서 3개월(+3개월) 현장실습 | 3(6) |
논문연구 1 |
석사학위논문 지도 현장형 프로젝트 |
3 |
논문연구 2 |
석사학위논문 지도 현장형 프로젝트 |
3 |
- 담당교수
약학대학 박진홍 교수(제약산업 협동과정 사업전담교수)
약학대학 최준정 교수(제약산업 협동과정 주임교수)
약학대학 강혜영 교수(제약산업 협동과정 총괄책임자)
- 입학안내
- 문의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