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목적
언어정보연구원의 설립 목적은 “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를 널리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정보화하며, 각종 언어 정보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원은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1. 큰사전을 비롯한 각종 사전 편찬에 관련된 연구
2. 언어의 정보화에 관련된 전자, 전산 기술의 개발
3. 언어 정보에 관한 자료의 수집, 정리, 출판
4. 국내외 유관 학자, 학회, 기관과의 교류
5. 연구 및 실무 인원의 양성과 연수
6. 국제 사회에서 한국어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문화간 의사소통’ 등에 관련된 연구 및 사업
7. 한국어의 사회적 현상과 관련된 화용론, 담화 연구, 수사학, 이야기 연구 등에 관한 연구와 사업
8. 고전적 인문학과 관련된 각종 서지, 문헌, 고문서, 문자 자료 등에 관한 연구와 사업
9. 그 밖의 연구원의 목적 사업에 따르는 일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주요 사업
각종 특수 사전 개발 | ‘연세 한국어사전’의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자료와 경험을 바탕으로, ‘개화기 이후 현대 한국어 문장 인용사전(1997-1999)’, ‘어휘의미 빈도사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용 사전’, 문법 사전, 관용구 사전, 연어 사전, 각종 전문용어 사전, 옛말 사전 등의 특수 사전을 개발하고 있다. |
---|---|
국어정보학 연구 및 국어정보화 보급 사업 | 대규모 언어 자료의 국어학적 분석 및 전산 처리를 통한 각종 언어 정보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국어정보학 연구에 힘쓰고 있다. 1997년 국내 최초로 대학원에 ‘국어정보학 협동과정’을 설치하여, 체계적인 인재 양성을 하고 있으며, 연구 성과를 ‘언어정보의 탐구’(1집 발간)를 통해 발표하였다. 또한 문화관광부 주관의 ‘국어정보화 보급 사업’의 주관 연구기관으로서, 국내 국어정보학 연구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국어정보화 아카데미 운영 | 문화관광부의 국어정보화 인력 양성 사업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본 연구원의 주관 하에 국어정보화 아카데미가 운영되고 있다. 매년 여름 일반인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언어정보처리, 말뭉치언어학, 사전편찬학 등에 대한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며, 외부 기관과 협력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 심도 있는 강의를 진행하였다. |
대규모 한국어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 ‘연세 한국어 말뭉치 1-9(약 4,300만 어절)’로 대표되는 대규모의 전산 언어 자료를 국내 최초로 구축하여, 용례 검색과 어휘빈도 조사 등을 통한 각종 언어 정보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초등교육용 기초 말뭉치, 한국어 교육용 말뭉치, 전문 용어 말뭉치 등 각종 특수 말뭉치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현재 문화관광부 주관의 21세기 세종계획에 참여하여 각종 말뭉치의 개발과 활용에 참여하였다. |
대학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 설치 및 운영 | 본 연구원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핵심이 될 언어 정보의 연구를 위해 1997년 국내 최초로 언어정보학(舊 국어정보학) 협동과정을 설치하였다. 현재 박사과정과 석사과정에 20여 명이 재학 중이며, 학사 운영을 위하여 주임교수를 비롯한 5명의 관련 학과 교수들이 운영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
사전학 연구 및 국어 사전 개발 | 본 연구원는 다년간의 사전학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연세한국어사전(1998)’과 ‘연세초등국어사전(2002, 2011, 2017, 2020)’을 간행하였으며, 현재 ‘연세현대한국어사전’을 편찬하고 있다. 한편 본 연구원은 사전 편찬의 폭을 넓혀 ‘연세초등영어사전(2007)’, ‘연세초등한자사전(2008)’도 발간하였다. |
음성분석 연구센터의 운영 | 2002년 1월 본 연구원이 산업자원부의 지원을 받는 음성정보기술산업지원센터(SITEC, 본부: 원광대)의 지역협력사이트로 선정되면서 음성분석 연구센터가 설치되었다. 본 센터에서는 음성기술처리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이게 될 음성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음소, 운율 레이블링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 (주)동아시테크와 협력하여 한국인의 영어 발음을 평가하는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였으며, 각종 음성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
인문학 육성 연구 프로젝트 진행 |
본 연구원은 2001년 이후 한국학술진흥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학 육성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앞으로 다양한 과제를 개발,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첫째, “동사의 다중언어 의미정보 표상에 대한 연구”로서,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 5개 언어를 대상으로 다중언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론언어학적 문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둘째, “의미 관계에 따른 기초 어휘 체계와 교수 방안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기초 어휘를 선정, 보완하고 의미장과 어휘 의미의 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기초 어휘 의미 체계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어휘 교수 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구어 문법 기술을 위한 기초 연구”에서는 대학생 대화를 전사한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음운, 어휘, 문형, 담화 층위에서의 주석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구어의 실체를 규명하였다. |
전문용어의 국어학적 연구와 표준하의 기여 | 1998년에 문화관광부가 한국과학기술원에 설치한 ‘전문용어언어공학센터’의 공식 협력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1998년부터 ‘전문용어의 국어학적 분석과 표준안 제안’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경제분야), 1999년에는 연구원 내에 ‘전문용어 연구센터’를 설치하고 기초과학(물리학) 분야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국내에 불모지였던 ‘전문용어’의 언어학적 분석을 위한 ‘용어학(Terminology)'의 학문적 영역을 수립, 국어학과 각 전문적 학문 영역의 학제적인 학술연구와 각 전문분야별 ‘전문용어 사전’을 개발하였다. |
통합 전자 사전의 개발 및 서비스 | 연세 한국어 사전의 전자 사전 및 각종 특수 사전(연어 사전, 관용구 사전, 시사 용어 사전, 전문 용어 사전 등)을 결합한 통합 전자 사전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이를 인터넷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서비스함으로써 정보화 사회를 앞당기는 데에 기여하기 위해 각종 연구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한국어 세계화 프로젝트 |
본 연구원는 1998년부터 문화관광부가 추진한 “한국어 세계화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 사업”에 참가하여, 한국어 교육 말뭉치를 구축하고(100만 어절), 이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용 기초 어휘 선정’(1998), ‘기초 어휘 의미 빈도 사전 개발’(1999∼2000) 등의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사업을 통해, 향후 ‘한국어 학습사전’을 비롯한 ‘통합 전자사전’, ‘외국어판 학습사전’의 개발이 이루어진 바 있다. 이와 같은 연구와 아울러, 본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언어연구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 등에서의 학제적 연구 및 교육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연구센터’를 설치하여, 한국어 세계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