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공간 마케팅 연구실 Space Marketing Research Unit

  

 

 

 

 

 

연구영역. 공간마케팅, 실내건축 계획 및 설계, 환경 색채, 현대 한옥, 미래 노인 주거

연구실.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삼성관) 707호   
전화번호. 02-2123-4663    

지도교수. 이현수 교수

 

본 공간 마케팅을 주요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와 디자인 경영의 이론을 접목시킨 공간 디자인 이론 정립을 위한 융합적 연구를 모색하고 있다. 융합적 접근을 통해 학문의 독창성을 발휘하여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리더십을 겸비한 우수 인력을 양성하려는 것이 연구실의 기본 취지이다. 주거 공간뿐만 아니라 문화, 상업, 교육, 사무 공간 등을 창의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배출하여 새로운 공간 문화를 창출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연구실이다.

 

본 공간 마케팅 연구실은,
  1. 공간 디자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문학(심리, 철학, 역사, 경영 등)간의 융합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과 상상력이 풍부한 인력양성을 목표로 한다.
  2. 융합디자인 분야에서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감성사회에 부합되는 디자인 철학(Regional Architecture, Metabolism)을 바탕으로 감성 극대화 공간 창출을 목표로 한다.
  4. 사용자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공간 디자인 창조를 목표로 한다.

 

본 연구실 책임교수인 이현수 교수는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 건축팀장, 서대문구청 건축 위원회 위원, 도시 디자인 위원회 위원, 인포 디자인 학회 회장, 생태환경건축학회 부회장, 대한 주택공사 설계심의위원, 연세대하교 생활환경대학원 디자인 경영 전공 책임교수로 있으며, 현재 대학에서 공간마케팅, 주거환경계획, 현대주거건축, 시각예술의 이해, 주거건축디자인 스튜디오 수업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구분야

본 공간마케팅 연구실(SMRU)이 다루는 전반적인 연구분야는 공간마케팅을 베이스로 한 생명(자연)몰입 건축, 디자인 기획, 실내건축 계획, 환경색채, 그리고 디자인과 파브리케이션(Design and Fabrication)이다. 각각의 분야들은 저마다 독특한 리서치 영역이 이미 구축되어 있는 주제들이지만, 본 연구실에서는 각 분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의 창조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각각의 주제들은 독립될 경우 하나의 연구결과를 생산하지만, 융합하여 연구하고 프로젝트에 도입하였을 경우 보다 나은 시너지효과(synergy effect)를 창출할 수 있는 긍정성을 지닌다.


이러한 다양성에 기인한 융합화된 리서치 영역의 구축은 디자인경영(Design Management)을 위한 초석을 다지는데 매우 유용하다. 디자인경영은 디자인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판단을 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특정한 하나의 분야가 아닌 실제적 디자인에서 이를 형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제반활동, 즉 마케팅, 기술, 디자인 컨셉, 재무 등을 모두 총괄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정 기술이나 분야를 익히기 보다는 디자인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는 추후 실무 혹은 연구 분야와 상관없이 다양하게 소요될 수 있는 능력이다. 따라서 본 연구실은 다양한 연구 분야의 믹스&매치(mix&match)를 통한 융합화로 실내건축 디자인 이론 및 디자인 경영을 이해하는 총체적인 안목을 기르는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프로젝트 및 주제

  1. 공간마케팅
  2. 생명 건축(Bio Architecture)
  3. 근거기반 디자인
  4. Parametric Design (Design and Fabrication)
  5. 한중일 건축 비교
  6. 미래 노인 주거
  7. 지역주의 건축
  8. 환경색채

 

 

주요 연구 논문

아파트 건설업체에 대한 경쟁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 입주자들의 욕구 또한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미래 공동주택의 큰 방향은 입주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는 것이다. 이에 발맞춰 건설업체들은 각종 전략들을 내세워 입주자 모시기 경쟁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공간 차별화 전략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공간 차별화 전략을 전제로 한 공간 마케팅연구와 더불어 오픈하우징 개념을 이용한 맞춤형 미래 주거공간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1. 출판: 이현수, 송정화, 이세나, 건축 CAD, 안그라픽스, 2006
  2. 출판: 이현수, 도시색채이야기, 도서출판 선, 2006
  3. 특허등록: 디지털 프로세스를 이용한 이미지 색채분석방법, 2006.8.24
  4. 래미안의 과학적 수납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5. 유비쿼터스 주택의 사용자 행위에 따른 상황인지 추론엔진 설계
  6. 시각감성언어를 이용한 가변형 건축입면형태 디자인방법에 관한 기초적 연구
  7. 전통 이미지를 활용한 색채 팔레트 및 배색코드에 관한 연구
  8. 오픈 하우징의 SAR 이론을 활용한 주택평면 가변화 방법

 

학위논문집

  1. 도시형 한옥의 공간구조를 활용한 아파트 주동배치에 관한 연구, 인포 디자인 이슈, 2009.6
  2. 거주자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국제 기숙사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인포 디자인 이슈, 2008.12
  3. 매장에서 공간구조 분석 및 소미자 동선 분석과 매출과의 관계성 연구, 인포 디자인 이슈, 2008.8
  4. 회화 사조에 나타난 노랑의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인포 디자인 이슈, 2008.4
  5.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을 위한 상황 인지 추론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8.2
  6. 고령화 사회에 따른 국민임대아파트 1층 공유공간의 계획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2008.2
  7. 체험 마케팅 요소를 활용한 주택문화관의 디자인 방향,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007.10
  8. 기능 통합 공간 구성 요소 연구, 인포 디자인 이슈, 2007.5
  9. 맞벌이 가족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파트 단위평면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7.2
  10. 오픈 하우징의 SAR 이론을 활용한 가변화 방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7.2
  11. 시각의 노화에 따른 Yellow와 Blue에 대한 색지각 특성, 인포 디자인 이슈, 2006.5
  12. 노인을 위한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인포 디자인 이슈, 2006.5
  13. 국내 아파트의 가변형 평면 경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5.11
  14. Formulation of interior design color palette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of digital color samples,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2005.4
  15. 도시맥락적 관점에서 본 문화공간의 의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5.1
  16. H.S.LEE, S.J.CHANG, E.J.KIM "Formulation of interior design color palette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of digital color samples" 2005. 4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17. 송정화, 김영욱, 이현수 "도시 맥락적 관점에서 본 문화공간의 의미" 2005. 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 이현수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주택의 상호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한 연구" 2004. 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 정현원, 이현수 "디지털 이미지 색채분석을 이용한 재택근무 공간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2004. 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 이현수, 윤형건, 김승현 "신문광고 사례를 통해서 본 아파트 브랜드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2004. 6 광고학 연구
  21. 송정화, 이현수 "형태변형 프로세스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형태 디자인" 2004. 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 김수정, 윤형건, 이현수 "브랜드 개성을 나타내는 웹사이트 컬러에 관한 연구" 2003. 12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3. 이현수 "A development of an emotion-responsive color adaptation for interactive VR Model" 2003. 11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4. 김주연, 이현수 "감성반응형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2003. 6 한국감성과학회지
  25. 정현원, 이현수 "디지털 이미지 색채분석을 이용한 욕실공간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2003. 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6. 고경진, 이현수 "비물질적 표현특성을 이용한 미디어 벽체의 동적회화 구성" 2003. 1 InfoDesign Issue 2

 

학술발표대회

  1. 융합화 모델 개발을 위한 초고층 주거 커뮤니티 공간 분석, 한국주거학회, 2008.11
  2. 주상복합아파트의 주거계획을 위한 트렌드 분석, 한국주거학회, 2008.11
  3. 현대종교건축에 나타난 현상학적 요소 분석, 한국주거학회, 2008.11
  4. Issues of caused by Horizontalization of the lower base part of the mixed-use high-rise building,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s in Asia, 2008.10
  5. 주택문화관의 행동적 체험을 고려한 공간마케팅 전략, 한국감성과학회, 2008.9
  6. 리테일 브랜드의 공간 마케팅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2008.9
  7. 소비자 욕구에 상호작용하는 공간마케팅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2008.9
  8. 기업 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간마케팅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2008.9
  9. 소비 연령층에 따른 공간마키텡 전략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한국감성과학회, 2008.9
  10. Study on the Residential Preference of the Residents of High Rise Apartment Houses in the Third Age,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8.8
  11. 전통성을 활용한 기숙사의 외관 색채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08.4
  12. 전통 색채이미지의 배색각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7.11
  13. 이승희, 김영욱, 이현수 "현대 공동주거 단지 구성의 전통성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2003. 11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14. 정유정, 박영순, 이현수, 이현정 "국제 공항의 색채 계획에 관한 사례 연구" 2004. 7 색채학회 하계학술대회
  15. 이원혜, 박영순, 이현수, 송정화 "동독과 서독의 중심 거리에서 나타나는 환경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2004. 7 색채학회 하계학술대회
  16. 이경아, 이현수 "친환경 인증제도를 이용한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화 계획요소 분석" 2005. 5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 이동화, 박성준, 이현수 "유비쿼터스 주택에서의 사용자 행위에 따른 센서기기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2005. 10 실내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8. 박소윤, 이경아, 이현수 "공동주택의 드레스룸 공간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2005. 10 실내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9. 이경아, 박소윤, 이현수 "공동주택 단위평면의 실별 면적 분석" 2005. 10 실내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 이윤재, 이세나, 이현수 "주생활양식별 부엌 공간 계획을 위한 사용자 요구" 2005 11 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우수논문
  21. 박소윤, 이경아, 이현수 "공동주택의 부부 전용공간 분석" 2005. 11 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2. 이동화, 박성준, 이현수 "주택 내에서의 사용자 행위분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 2005. 11 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연구원 소개

현재 김은영, 오영은, 구미정, 심민경, 임해원 등의 박사과정 학생 5명이 있으며, 석사 과정 학생으로는 이정은, 윤희원, 김유라, 양현정, 김도연, 임주희, 정뢰, 문선영, 정희영 등의 9명이 있다. 경희대학교, 계명대학교, 김포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상명대학교, 숭실대학교, 신라대학교, 인하대학교, 한밭대학교, 한양대학교, Univ. of Kensas, Univ. of New Castle 대학 등에서 연구실 출신 박사들이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