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디자인 및 디자인IT 연구실 (Space & Design IT Lab)
연구영역. 디지털 융합디자인, 디자인컴퓨팅, 건물정보모델링(BIM), 지능형 디자인.
연구실.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삼성관) 411호
전화번호. 02-2123-3134
Email. leejinkook@yonsei.ac.kr
지도교수. 이진국 교수(CV: http://designitlab.kr/jklee/ )
연구실웹사이트: www.designitlab.kr
연구실블로그: www.designitlablog.kr
연세연구원정보: devcms.yonsei.ac.kr/faculty/name_search.do?mode=view&userId=yEkYZEun0a3e1y1M4kZcvA%3D%3D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WHd4Ji4AAAAJ&hl=ko&oi=ao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Jin_Kook_Lee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위 지도교수 CV링크, 연구업적링크, 연구실 홈페이지 링크 등 참고
* 진학을 희망하는 학부생 및 타대학졸업생들은 지도교수 이메일 컨택 요망
* 본연구실로 진학시 연구비를 받고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풀타임학생연구원 또는 참여하지 않는 파트타임학생연구원을 논의 후 선택하여 수행
연구원 소개
졸업생 진로: 풀타임으로 성공적인 학생연구원생활을 마치고 졸업하는 경우, 졸업생 전원이 다양하고 매우 경쟁력 있는 정규직 취업 또는 미국박사과정 등으로 다음과 같이 진출함.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T기업 개발자, 설계사 BIM업무 (해안건축), 글로벌FM기업 (JLL), 종합CM사 (한미글로벌), 대기업 건설사 설계팀 시공팀 스마트홈사업부 등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삼성전자 등), 미국 유수의 주립대 박사과정 진학 등
재학생: 박사과정, 석사과정, 학석연계과정, 학부연구생 등 8명
기타: 학부생 비정규인력 3명 등
연구실 소개
공간 및 디자인IT 연구실은 디지털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공간을 디자인하고 구현하는 모든 실내건축학 관련 주제를 연구 및 개발의 대상으로 한다. 디자인컴퓨팅, 특히 건물정보모델링 (BIM) 및 인공지능기술 등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간 및 디자인과 이공/인문/예술의 융복합을 실현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좋은 공간” 이라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연구개발을 한다.
최근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0. 건축계획 및 주거계획 분야: 건축물 설계품질, 공간계획, 동선 등에 대한 정량분석 및 평가 등
1. 디지털 융합 디자인 분야: CAAD, Computational Design, 디자인 인포그래픽스 등 디지털디자인
2. 디자인컴퓨팅 제반 분야: 호환성 및 협업, 스마트공간, 웹/앱 개발, 디자인미디어 등
3. 건물정보모델링(BIM) 분야: BIM Application 연구 및 소프트웨어개발 - IFC기반 건물설계 분석, BIM기반 건물설계, 설계품질검토 자동화, BIM기반 건물에너지분석 등
4. 지능형 디자인 분야: 인공지능기반 건축설계 자동화, 인공지능 기반 실감형 미디어 활용 건축설계 연구, 인간감성 및 정성적 디자인요소의 정량화를 통한 AI-assisted Design 등
주요 연구 활동
< 도서 >
“BIM 핸드북 – 건축주 건축가 엔지니어 그리고 건설인을 위한 BIM 가이드” 시공문화사. ISBN 9788955921205. 2009.04.03. 총 503쪽. Original edition by Charles M. Eastman, Paul Teicholz, Rafael Sacks, Kathleen Liston, John Wiley & Sons Inc. ISBN: 978-0-470-18528-5, 이강, 문현준, 권순욱, 이재민, 이진국, 김준하 등, 외 7건
외 3건
< 특허 > 등록특허 2건 및 특허출원중 2건 등
2021.05.31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건축 정보 모델의 객체 유형 정보 인식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Type Inform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출원번호: 10-2019-0125987, 2019. 등록번호 10-2260969
2017.11.06 건축물의 법규 충족 판단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Building Meets The Regulations), 출원번호 10-2016-0088847, 2016. 등록번호 10-1796767
< 등록 소프트웨어 >
2021.01.22 증강가상현실 및 360 공간 시각화 기반 실내 설계안 프레젠테이션 영상 제작 프로그램, 등록번호 : C-2021-003847, PI: 연세대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2019.11.25 딥러닝 기반 실내이미지 디자인 자동분류 프로그램, 등록번호: C-2019-035593, PI: 연세대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외 8건
< 연구과제 >
2021~2025 인공지능 기반의 건축설계 자동화 기술개발, PI: 경북대 추승연, 국토교통부
2021~2024 근현대 건축문화재 보존/활용 리트로핏 기술 연구실, PI: 연세대 김수민, 한국연구재단
2020~2027 BK21+ Co-space 4.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간복지 혁신인재양성 교육연구단, PI: 연세대 전정윤, 교육부
2019~2022 실내이미지의 객체 및 스타일 기계학습을 통한 인공지능 학습모델 개발과 실내디자인 활용 PI: 이진국, 한국연구재단
외 23여건
< 수상 >
- 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우수논문상, 딥러닝 기반 실내디자인 스타일 학습모델 구현 및 활용, 2020.12.
- 2.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이진국, “설계품질 자동검토 도구를 위한 시각지능기반 BIM객체 인식 구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20.07.03.
외 25건
< 국제 논문 >
- 1. Ma, J. H., Lee, J. K., & Cha, S. H. (2022). “Effects of lighting CCT and illuminance on visual perception and task performance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Building and Environment, 209, 108678.
- 2. Kim, J., & Lee, J. K. (2020). “Stochastic Detection of Interior Design Styles Using a Deep-Learning Model for Reference Images.” Applied Sciences, 10(20), 7299.
- 3. Song. J. Y, Lee, J.K, Choi, J. S. and Kim I. H. "Deep learning-based extraction of predicate-argument structure (PAS) in building design rule sentences"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in press
- 4. Yong-Cheol Lee, Moeid Shariatfar, Pedram Ghannad, Jiansong Zhang and Jin-Kook Lee, “Generation of Entity-based Integrated Model View Definition Modul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BIM Data Exchange Standard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Vol 34, Issue 3, 04020011, 2020. 05.
외 21 여건
< 국내 논문 >
- 1. 신은서, & 이진국. (2021). 360 파노라마 이미지 기반 건물시각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16(1), 23-30.
- 2. 조단규, 이진국. (2021). 평면 스케치 딥러닝 학습모델 구축과 공간디자인 활용-평면 스케치 인식 기반 설계초기 BIM 모델 자동생성 모듈 개발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6(3), 365-374.
- 3. 송재열, & 이진국. (2020). 공간정보 학습모델 기반 실내디자인 객체 모델링 자동화 접근방법-인공지능 기술 활용 천장 조명객체 자동생성 플러그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9(2), 12-20.
- 4. 김진성, & 이진국. (2020). 딥러닝 기반 실내디자인 스타일 학습모델 구현 및 활용.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9(5), 96-104.
외 31여건
< 국제 컨퍼런스 >
- 1. Jaeyeol Song, Jinsung Kim, and Jin-Kook Lee, "NLP and Deep Learning-based Analysis of Building Regulations to support Automated Rule Checking System", 3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2018), 2018
- 2. Jinsung Kim and Jin-Kook Lee, "Auto-Classification of Interior Design Styles for Managing Reference Images",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ST 2018, pp16-19, 2018.06
- 3. Jaeyeol Song, Jinsung Kim, and Jin-Kook Lee, "Approcah to capturing design requirements from the existing architectural document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Research in Asia (CAADRIA) 2018, pp. 831-839
외 50여건
< 국내 컨퍼런스 >
- 1. 신은서, 이진국. 2021. BIM 저작도구기반 지능형 설계 자동화 접근방법. 대한건축학회 추계학발표대회논문집 제41권 제2호, pp.145-146.
- 2. 신은서, 이진국, 2021, 실내건축디자인 웹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접근방법 , 2021 한국CDE 학회 하계학술대회, pp. 467-468.
- 3. 최수형, 신은서, 이현규, 조은솔, 이진국. 2021. BIM 객체 자동생성활용 공간객체기반 설계 접근방법 - 빌딩코어 공간객체 자동생성 플러그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41권 제1호, pp.605-606.
외 71여건